깃의 파일 관리 비밀 (with .git)

Jihoon Yoo·2023년 4월 2일
0

목록 보기
2/8
post-thumbnail

👶🏻 git init

앞서 깃은 코드의 버전을 관리하는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고 배웠다.
이 말은 달리 말하면 파일의 변경내역을 모두 저장하고 관리한다는 뜻이다.
이걸 어떻게 하는 것일까?
이 git 영업 비밀을 조금만 맛봐보도록 하자


⭐️ .git

깃은 우리가 흔히 쓰는 컴퓨터 파일, 폴더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한다.
이거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git 폴더를 찾으면 된다.

이 .git 폴더 구조는 블로그를 운영 중인 폴더의 .git 폴더이다.

이 폴더는 어떤 상황에 만들어질까?
한 번 아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고 명령어를 통해서 초기화를 해보자

mkdir test
cd test
git init

뭔가 다른 부분들이 많다.
나는 별 크게 건들지를 않았는데 왜 다른 폴더들이랑 파일들이 생길까?
모두 다뤄볼 수는 없겠지만 중요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index

지금 index파일이 없다.
하지만 우리는 생성할 수 있다. (어케요?)
새롭게 만든 test 폴더에 아무 파일을 하나 만들고 해당 파일을 add 해보자

echo "hello?" > test.txt
git add test.txt

이게 뭔일인가?
틀린그림 찾기를 한 번 해보자면

  1. objects 폴더에 91 폴더가 생겼고 내부에 괴상한 파일이 생겼다.
  2. index 파일이 생겼다.

이 index 파일이 왜 생겼을까? 심지어 그대로 누르면 보이지도 않는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index 내부를 볼 수 있다고 하니 한번 알아보자

git ls-files --stage

어어 91 익숙하다? 하고 보면
9101792… 이라는 문자는 objects>91>01792ba81… 파일과 같다.
이는 index가 저장하는 세 가지 속성과 연관이 있다.
#git index를 좀 더 자세히 라는 좋은 레퍼런스를 참고해서 간단 설명을 해보자면

  1. binary file
    1. 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유형을 알려주는 코드이다.
    2. 코드는 아래와 같다.
      1. 040000: 디렉토리
      2. 100644: 일반 / 비실행 파일
      3. 100664: 일반 / 비실행 / 그룹 쓰기 가능 파일
      4. 100755: 일반 실행 파일
      5. 120000: Symbolic link
      6. 160000: Git link
  2. maps paths to blob ids
    1. blob의 id를 저장한다.
    2. 이 blob 이란 것은 이후 더 알아보자
  3. cached lstat information

그러면 0은 뭐지 해서 살펴보니 이는 slot 의 번호로 0인 경우 정상적인 경우, 1, 2, 3 인 경우 conflict 가 났을 때의 코드이다. 이는 뒤에서 conflict 를 학습하고 아 그랬겠구나 정도로 살펴보자

그러면 이 index 파일이 이렇게 3가지 속성을 저장하는 이유가 뭘까?
index 파일은 스테이지 영역에 있는 파일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스테이지 영역이란 워킹 디렉토리에서 제출된 tracked 파일들을 관리하는 영역이다.
한마디로 깃이 지켜볼 파일 리스트를 관리하는게 index 파일인 것이다.

우리가 git add 를 했을 때 해당 파일이 스테이지 영역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스테이지 영역은 곧 보도록 하자)


objects

이미지 출처: https://sjh836.tistory.com/74

blob

add 를 하고 변경된 요소 중 다른 하나는 objects에 폴더와 파일이 생겼다는 것이다.
이 파일은 뭘까?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파악 해볼 수 있다.

git cat-file -p [파일 명]

어라? 본인이 작성했던 그 글이 그대로 남아있다.
이 파일은 무엇일까?

바로 blob이다.
이 blob 파일들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대략적인 순서는 이렇다.

  1. 파일을 git add 했을 때 생성된다.
  2. 이때 파일의 모든 내용을 SHA-1 방식의 해시 함수에 넣어 40자리 16진수 숫자를 만든다.
  3. 이 숫자 중 앞 2글자는 폴더 이름, 나머지는 blob 파일의 이름으로 설정한다.
  4. 파일의 모든 내용은 압축을 해서 blob 파일 내부에 저장한다.
    (맨 처음에 파일을 등록할 경우는 압축을 하지 않는다는 말도 있는데 이는 본인이 조금 더 알아보려고 한다.)

한마디로 압축을 통해 작게 해서 원본 파일 혹은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것이 이 blob 인 것이다.

tree

이제 commit을 한번 해보자.

git commit -m "first"

이번에는 2개나 생겼다. 무엇일까?
한번 내부를 파악해보자

안에 익숙한 모습들이 보인다.
이 파일은 tree 파일이다.
내부에 commit한 시점의 버전의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만약 commit에 올렸던 즉 add 했던 파일들이 여러 개였다면 tree 안에 여러 파일에 대한 정보가 남아있을 것이다.

commit

다른 하나를 또 열어보자

tree hash 값, author, committer, commit message 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파일은 commit 파일이다.

실제 commit을 누가 했는지, 저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 commit에 포함된 파일의 내역을 저장하는 tree 파일의 hash 값을 통해서 변화 내역을 저장한다.

사실상 이 commit 파일이 우리가 항상 이야기하는 commit의 본채이다.

한 번 더 해볼까?

이제는 기존의 test.txt 파일을 변경시키고 add, commit을 한 번 해보자

[text.txt 파일에 ?를 하나 더 붙였다.]
git add text.txt
git commit -m "second"

blob 과 tree 의 경우는 기존과 동일하게 내부 파일 저장과 해당 blob의 정보를 저장하는 듯 보인다.

commit 에 새로운 것이 생겼다.
바로 parent 에 대한 정보인데 저 hash 값이 굉장히 익숙하다.
맞다! 바로 first commit의 hash 정보이다. 이렇게 꼬리 물기를 통해서 commit 기록들이 저장되는 것이다.

정리

정리하자면 이 objects 폴더 안에 있는 것은 우리의 코드의 변경과정과 내용을 전부 보관하고 있는 저장소commit 파일에서 parent를 통해 연결고리를 만든 구조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이 연결고리를 통해서 원하는 시점의 코드 상태를 불러오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refs

위 부분까지 이해가 되었다면 한 가지 궁금증이 들 수 있는게
가장 최근의 commit 정보가 어딘가에는 저장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어디에 저장할까? 라는 궁금증이다.

이를 저장하는 부분이 refs 폴더이다.

이 refs 폴더에서 heads 라는 폴더가 있고 이 내부에서 가장 최신 commit의 hash 값을 저장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서 새로운 commit 의 parent를 연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위 그림은 다른 프로젝트의 refs 의 상태인데 상당히 복잡해보인다.
remotes 라는 폴더도 보이고 stash 라는 파일도 보인다.
이러한 내용들은 앞으로 차츰 나올 것이다.

일단 오늘은 이렇게 마무리를 해볼까 한다.

profile
기본은 하는 개발자로 성장하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