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의 영역 분리 및 상태가 무엇인가?

Jihoon Yoo·2023년 4월 19일
0

목록 보기
3/8

👶🏻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지난번 글에서는 깃을 init, add, commit을 해보면서 내부 폴더 .git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보았다.
이번에 알아볼 것은 실제 폴더를 살피는 것이 아닌 개념적인 내용을 알아볼 계획이다.
깃이 나누어둔 영역들과 파일의 상태라는 개념 한 번 알아보면서 우리가 지난 시간에 했던 add, commit이 무엇을 하는 명령어인지 알아본다.

🏠 깃의 영역 분리


이미지 출처: https://support.nesi.org.nz/hc/en-gb/articles/360001508515-Git-Reference-Sheet

우선적으로 위 그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깃은 저장 공간을 논리적으로 분리한다.

깃은 크게 작업을 하는 공간(Working),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stage), 실제로 기록하는 공간(repository) 으로 나눈다. 이렇게 공간을 나누면서 깃의 동작과 이력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워킹 디렉터리(Working Directory)

작업을 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말 그대로 로컬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으며, 실제로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하는 공간이다.

스테이지(Staging Area)

워킹 디렉터리와 레포지토리 사이에 있는 임시 영역이다.
깃은 워킹 티렉터리에서 작업이 끝난 파일을 스테이지로 잠시 복사한다. 이때 복사한다는 의미는 콘텐츠 내용을 직접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단지 파일의 추적 상태 정보들만 기록한다.

이렇게 임시 영역인 스테이지를 별도로 운영하는 것은 커밋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함이다.

레포지토리(Repository)

스테이지 영역에서 기리키는 파일 내용을 기반으로 변경된 차이점을 기록한다.

📁 파일의 상태


이미지 출처: https://git-scm.com/book/ko/v2/Git의-기초-수정하고-저장소에-저장하기

깃이 논리적으로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서 영역 분리를 한다고 했다.

이 영역에 따라서 우리는 파일의 상태를 나눈다. 위 그림을 보면 4가지 정도인 것으로 보이는데 한 번 알아보자.

Untracked / Tracked

깃은 추적 개념이란 것을 가지고 있다.
깃은 지정된 파일들의 모든 것을 추적하는 관리 시스템이다. 깃은 워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추척됨(Tracked)추적되지 않음(Untracked) 로 나눈다.

실제 작업 중인 파일은 워킹 디렉터리 안에 있다.
워킹 디렉터리는 현재 작업 중인 소스 코드를 담고 있으며, 운영 체제도 워킹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들만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다. 워킹 디렉터리는 사용자 작업 공간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 공간에 파일을 추가하거나 수정했다고 해서 깃이 자동으로 파일을 관리해주지 않는다.

워킹 디렉터리에서 새로 생성된 파일들은 모두 Untracked 상태이다. 이 파일을 관리하려면 깃에게 ‘추적해줘’ 하고 통지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추적해달라고 요청하고 이를 Tracked 상태로 바꿀 수 있을까?
이때가 바로 우리가 사용했던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는 시점이다.

깃이라고 모든 파일을 완벽하게 처리할 수는 없다. 수많은 파일을 자동으로 처리한다고 하면 시스템에 부하가 올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깃은 요청받은 파일들만 추적 관리하는 것이다.

Stage / Unstage

워킹 디렉터리에 있는 tracked 상태의 파일들은 스테이지 영역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스테이지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파일은 Untracked 상태에서 Tracked 상태로 변경된다.
스테이지는 워킹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들의 추적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스테이지 영역 안에서도 크게 두 상태로 구분한다. 바로 Stage 상태와 Unstage 상태이다.
깃이 변화 이력을 기록하려면 파일들의 최종 상태가 Stage 상태여야 한다. Unstage 상태라면 파일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테이지 영역에 있는 파일과 워킹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 내용에 차이가 있을 때는 Unstage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Unstage 상태라고 해서 실제 파일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단지 파일이 수정되어 임시적으로 스테이지 목록에서 제외된 것이다. 이 때 다시 git add를 통해서 스테이지에 추가할 수 있다.

Modified / Unmodified

코드를 변경하는 것은 워킹 디렉터리에서 파일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파일이 수정되면 워킹 디렉터리와 스테이지 간 내용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테이지는 수정한 파일과 원본 파일로 구분하려고 Modified 상태와 Unmodified 상태로 표현한다.

  • Modified 상태: tracked 상태의 파일이 수정되면 스테이지는 파일 상태를 Modified로 변경한다. 그러면 수정된 파일은 잠시 스테이지에서 제외된다. 이를 다시 스테이지로 올리려면 git add를 해주어야 한다.
  • Unmodified 상태: tracked 상태이면서 스테이지에서 한 번도 수정하지 않은 원본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수정되지 않은 파일들은 재등록 하지 않아도 된다.

위 내용들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리면 위와 같은 그림이 된다.

한 번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워킹 디렉터리에서 등록 명령어 git add를 실행하면 스테이지에 등록된다. 이 때 자동으로 Tracked 상태가 된다.
  • 파일을 수정하지 않으면 계속 Stage 영역에서 머문다.
  • 파일이 수정되면 Modified 상태가 되고, 스테이지에서 떨어져 나와 Unstage 상태가 된다.
  • Unstage 상태의 파일은 워킹 디렉터리에 잠시 담아둔다. 이때 다시 git add를 통해서 stage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테이지라는 말이 영역을 표현할 때도 사용되고 파일의 상태를 말할 때도 사용되니 이점이 약간 혼동될 수 있다.
(실제로 학습을 하고 정리도 하면서 용어가 좀 혼동되는 경향이 있었다…)

🤨 다음에 학습해볼 내용


원래는 영역 분리와 파일의 상태에 관해서 학습하고 commit의 동작 흐름과 변화도 적으려 했으나 둘을 모두 적으면 글이 터질 것 같다… 따라서 다음 글은 commit 동작 흐름을 한 번 살펴보면서 실제 코드나 파일상의 변화를 확인해볼 예정이다.

profile
기본은 하는 개발자로 성장하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