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구조

김하은·2023년 4월 19일
0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문법구조와 명령어.
문법구조(syntax structure)
명령어 (command)

서로 다른 문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물론 세미콜론으로 구분한 다른 문을 한줄에 작성해도 되지만,
보통은 코드의 가독성을 위해 각 문은 서로 다른 줄에 작성한다.

줄바꿈이 있다면 세미콜론 생략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줄바꿈은 세미콜론을 의미하지만 한줄로 써야할 문을 여러줄로 나누어 쓸 경우에는 예외이다.

console.log(3 +
            4
            + 5);

보면 첫줄이 + 로 끝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줄은 불완전한 표현식 이므로 세미콜론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3+4+5로 작동한다.

그러나 정말 세미콜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자바스크립트가 이를 추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단일 문이 아닐경우 줄바꿈으로 문을 나누었더라도 문 사이에는 세미콜론을 넣도록 한다.


주석

시간이 흐르면서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이 더 복잡해져서 무슨일이 왜 벌어지ㅐ고 있는지 설명해주는것이 필요했다.
따라서 주석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주석은 어느곳에서나 작성할 수 있으며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주석을 무시하기때문에 실행과는 관련이 없다.

한줄주석은 슬래시 두개로 시작된다. (//)
여러줄 주석은 슬래시 별(/)로 시작하고 별 슬래시로 끝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