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태그.
이 태그는 웹페이지의 보이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쓰인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earch Engin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를 의미한다.
메타테그를 이용해 description, keyword, author, subject, classfication등의 정보 표기가 가능하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meta name="keywords" content="apple banna"> <meta name="desciption" content="나의 블로그"> <meta name="robot" content="noindex nofollow">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meta property="og:title" content="페이지 제목">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느린하루">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페이지 설명">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휴식과 충전, 느린하루">-->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www.mysite.com/myimage.jpg">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www.mysite.com">
`<meta charset="utf-8">`
HTML5의 인코딩 지정 방법으로 보통 UTF-8(전세계 거의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 집합)을 값으로 지정.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뷰포트는 화면에 보이는 영역.
즉, 내가 보고 있는 모니터 화면 영역을 말하며, 스크롤로 봐야할 영역은 제외한다.위 코드는 문서의 넓이는 기기의 넓이이며, 초기 화면 배율은 1로 한다는 의미.`<meta name="keywords" content="apple banna">`
해당 컨텐츠의 대표적인 키워드를 지정한다.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에 반영될 수 있다. (구글은 반영 X)
`<meta name="desciption" content="휴식과 충전, 느린하루">`
해당 페이지에 대한 설명을 설정한다. 검색사이트에서 검색했을 때 제목 아래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meta name="author" content="JJ">`
웹 사이트의 소유자를 적는다.
`<meta name="robot" content="noindex nofollow">`
인덱싱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사용가능한 content는 index, noindex, follow, nofollow가 있다.index와 noindex는 페이지의 인덱스 여부를 말해주며, follow, nofollow는 페이지내의 링크를 크롤러가 따라갈 수 있는지 여부를 말해준다.
og: 으로는 크롤링(데이터가 있는 웹(Web)페이지의 구조를 분석하고 파악하여 긁어오는것)될때 미리보기를 설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