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 처리( 저장 / 연산 / 결론 도출 ) → 출력입력 장치는 외부의 신호를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게 입력 신호를 주는 장치 이다.여기에는 이미지 정보를 받아오는 웹카메라, 텍스트 정보를 받아오는 키보드, 커서의 위치 정보를 받아오는 마우
위의 그림에서 피라미드의 꼭대기와 가까울 수록 CPU에 가까운 기억장치이다.레지스터는 CPU 안에 있는 기억장치로 CPU가 현재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한다.캐시는 주기억장치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CPU가 필요한 데이터를 좀 더 빠르게
🔥 기계어 ← 어셈블러 / 디어셈블러, 역어셈블러 → 어셈블리어 ←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등→ 고급 언어사람이 쓰는 말을 컴퓨터는 알아듣지 못한다. 컴퓨터는 트랜지스터를 통해 0과 1( 이진수 ), 즉 기계어만 알아들을 수 있다. 하지만 기계어는
📌 운영체제( =OS, Operating System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자원( resource )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때 컴퓨터의 자원이란 컴퓨터가 작동하기 위한 모든 것을
pwdprint working directory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폴더 )의 경로 출력lslist segements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폴더 목록을 출력mkdir \[이름]make directory새로운 디렉터리 생성cd \[경로]change direct
❓ 네트워크와 인터넷 > 🛜 네트워크: 서로 다른 기기( 컴퓨터 )가 통신하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 인터넷: 여러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것 ✔️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 인터넷에서 서로를 식별할 때 ip 주소를 사용한다..으로 구별된 각 자리가 0에서 255 사이의 숫자로 나타내지고 192....
엘리스에서 리액트 트랙을 듣기 시작한지 벌써 1달이 되었다 !수업 외에도 알고리즘 공부랑 CS도 같이 준비하고 싶었는데 마침 알고리즘 스터디가 생겨서 얼른 들어갔다.스터디는 총 5명의 인원으로 매 주 백준 / 프로그래머스에서 5문제 골라서 풀고매 주 목요일에 스터디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