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계층화된 아키텍처 및 OSI 모델상태

여지윤·2024년 12월 8일
0

컴퓨터망

목록 보기
3/4

코세라 강의 네트워크 통신의 기초를 수강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프레젠테이션 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
-> 상위 4개 계층은 종단 간 통신을 위함

아키텍처를 왜 계층화하느냐?

  • 각 계층의 프로토콜은 다른 계층의 프로토콜과 별도로 설계 가능
  • 각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아래 레이어의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음
  • 계층화는 아래 계층을 변경하지 않고도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수정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함

물리 계층

통신 채널의 비트 전송을 처리

  • 특정 시스템 매개변수 선택에 관심을 두고 있음
  • 연결의 설정과 해제에도 의미

데이터 링크 계층

노드에 직접 연결되는 전송 링크를 통해 프레임이라는 정보 블록을 전송

  • 전송된 비트 시퀀스에 프레이밍 정보를 삽입하여 프레임의 경계 표시

네트워크 계층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중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전송

  •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주소 지정
  • 노드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네트워크 전체 경로를 지정
  • 혼잡 제어 역할 담당

전송 계층

소스 시스템에서 대상 시스템으로의 종단간 전송

  • 상위 계층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고 최종 컴퓨터 간 전송을 위해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 준비
  • IP를 기반으로 TCP/UDP두 개의 프로토콜을 제공, 프로세스간 동신을 가능하게 함
  •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HTTP/SMTP 등은 전송 계층의 TCP를 통해 작동
  •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DNS/RTP 등은 전송 계층의 UCP를 통해 작동
  • TCP/UDP 모두 인터넷 라우팅 프로토콜인 IP를 통해 작동 > 연결이 필요 없는 패킷 전송이 가능

어플리케이션 계층

  • HTTP, 웹 브라우징, 이메일, DNS, 실시간 전송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프로토콜: HTTP/SMTP, DNS/RTP 등

레이어

  • 서로 다른 시스템의 해당 레이어를 구성하는 개체를 피어 프로세스라고 함
  • n의 프로세스를 계층 n엔티티라고 함

프로토콜

  • 같은 레이어의 시스템은 레이어-n 프로토콜이라는 정확한 규칙 세트를 사용함
  • 레이어-n peer process는 PDU라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교환하며 통신

서비스

  • 서비스는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에서 사용 가능함
  • 아래 계층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이라고 함
  • SDU는 PDU에 캡슐화 됨

    계층 내에서는 PDU가 교환됨

캡슐화

헤더와 트레일러 구조

연결 지향 서비스: 연결 설정, SDU 전송, 연결 해제
비연결 서비스: 각 SDU가 직접 전송되므로 별도 연결 과정이 필요 없음

profile
KNU CSE 20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