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OSI 참조모델의 목적과 구조(데이터통신)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처리 시스템 간을 접속하여 상호 간의 정보교환과 데이터 처리를 위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데이터를 캡슐화할 때 데이터 앞에 덧붙여지는 부가정보를 말하며 주로 송신자의 주소와 연결제어, 에러/흐름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됨네트워크 구조에서

OSI 7계층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된 개념적인 모델로, 이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분류하여 각 계층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있다.각각의 계층은 서로 다른 역할과 책임을 지
OSI 7계층
Open System Interconnection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 가능하기 때문리피터, 케이블, 허브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이번에는 OSI 7 Layer의 두 번째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더넷(Ethernet)은 LAN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입니다.여러 대의 컴퓨터가 통신을 할 경우 데이터들이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데, 이더넷은

1계층 물리 계층
컴퓨터의 네트워크 통신에는 0과 1만이 사용됩니다. 이 숫자들을 비트, 모이면 비트열이라고 하는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이 비트열들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통신을 수행해야합니다.이러한 전기 신호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두 가지 형태의 신호가 있습니다.아날로그는 연속된

OSI 7계층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 표준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없도록 표준을 정한 것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각 계층을 지날 때마다 header가 붙게 되고, 수신 측은 역순으로 header를 분석함.✅ TCP/IP는 OSI 참조 모델을
OSI 7계층, 포트, 프로세스, 프로토콜, 세션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OSI 7계층을 나눈 이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서로 다른 기능으로 분할하여 각 계층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개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문제점을 찾거나 개발, 유지 보수에 있어서

OSI 7 계층
Open System Interconnection - 7 Layer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한 모델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및 프로토콜의 기반 OSI 7계층은 데이터 통신을 목적으로 각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위

[포스코x코딩온] 스마트팩토리 입문과정 |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 OSI 참조 모델
이번 시간에는 OSI 참조 모델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네트워크] OSI 7계층, TCP/IP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계층을 분리함으로 각 계층은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특정 계층의 문제가 생겼을 경우 문제가 생긴 계층을 파악 할 수 있다.각 계층은 하위계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최상위 계층은 아래계층 모두를 포함한다.전기적인, 기계적
OSI 7 계층
encoding - 0 과 1 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뀌어 전선으로 흘려 보내는 작업decoding - 아날로그 신호를 0 과 1 의 나열로 해석하는 작업module -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0 과 1 의 나열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모듈Phys

Network - TCP, UDP / TIL#20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2. UDP(User Datagram Protocol) 3. 서버로서의 TCP, UDP 서버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