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요소이다.
<input type="button" value="버튼">
<button type="button">버튼</button>
: 버튼은 2가지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 input
은 빈태그 요소이기 때문에 value 특성에 텍스트 값만 지정할 수 있다. button
은 열고 닫을 수 있어 그 사이 여러 컨텐츠를 삽입하거나 가상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a 태그
와button 태그
의 차이
:a 태그
는 다른 페이지 혹은 페이지 내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하이퍼링크 역할을 가지고 있다.button 태그
는 브라우저 기본 동작이 없어 사용자의 동작 실행을 위한 트리거 역할을 한다.
<!-- HTML -->
<button type="button" class="btn">Button</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btn" disabled>Button</button>
/* CSS */
button{
width: 88px;
height: 32px;
background: #343F50;
border: 1px solid #1A202C;
margin: 10px auto;
padding: 9px 25px;
color: #CBD5DF;
font-weight: bold;
box-shadow: 1px 1px 0px 0px #888888 inset;
}
.btn:hover{
text-decoration: underline;
color: #fff;
}
.btn:active{
text-decoration: underline;
color:#fff;
box-shadow: 1px 1px 0px 0px #262F3E inset;
}
.btn:disabled{
color:#4A5568;
}
• hover
: 마우스 커서를 요소 위에 올려두었을 때
• :active
: 클릭 시 활성화
• :disabled
: 비활성화
<button type="button" disabled>버튼</button>
• [속성이름]
: 해당 속성을 가진 모든 요소를 선택
• [속성이름 ~= "속성값"]
: 특정 문자열로 이루어진 단어를 포함한 요소 모두 선택
• [속성이름 |= "속성값"]
: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거나 특정 문자열로 시작하면서 하이픈 기호가 있는 태그
• [속성이름 ^= "속성값"]
: 특성 문자열로 시작하는 요소를 모두 선택
• [속성이름 $= "속성값"]
: 특성 문자열로 끝나는 요소를 모두 선택
• [속성이름 *= 속성값]
: 특정 문자열를 포함하는 요소 모두 선택
: 요소에 다양한 변형을 줄 수 있는 속성이다.
• scale: 요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 x축 y축 별도로 크기를 지정*/
transform: scale(1.5 2.5);
/* 기준점을 변경 */
transform-origin: top left;
• rotate: 요소를 회전 시킬 수 있다.
transform: rotate(45deg);
• translate: 자신의 위치에서 x,y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ransform: translate(20px, 40px);
/* 음수값도 가능 */
transform: translate(-20px, 40px);
• skew: 요소를 왜곡시키는 속성이다. 각도 단위를 사용한다.
transform: skew(30deg, 20deg);
• mix: 모두 합쳐서 사용할 수 있다.
transform: translate(20px, 40px) rotate(135deg) skew(30deg, 20deg);
: CSS 속성값이 변할 때 값의 변화가 일정 시간에 걸쳐 일어나도록 한다.
transition-property | transition-duration | transition-timing-function | transition-delay
의 순서로 작성 가능한 단축 속성이다.
transition: background-position 0.8s linear 5s;
• transition-property
: 전환 효과를 적용할 CSS 속성을 설정한다.
• transition-duration
: 지속 시간을 설정한다.
• transition-timing-function
: 진행 속도를 설정한다. 속성 값으로 ease, linear, step(int, start|end) 등이 있다.
• transition-delay
: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
: JavaScript 없이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transition
으로 애니메이션을 실행할 수 있지만 animation
은 요소의 상태 변화와 상관없이 애니메이션 실행이 가능하다. @keyframes
를 통해 anim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image{
animation: animation 0.8s infinite steps(4);
|
@keyframes animation(){
to{
background-position: right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