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 휘발정 저장 장치
: HDD, SDD, CD-ROM, USB 메모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이 유지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이지만
, RAM은 전원을 끄면 명령어와 데이터가 모두 날아가는 휘발성 저장 장치
입니다.
📍 CPU와의 관계
CPU는 보조기억장치에 직접 접근하지 못합니다.
일반적으로 보조기억장치인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는 '보관할 대상(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휘발정 저장 장치인 램에는 '실행할 대상'을 저장 합니다.
만약 CPU가 실행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보조기억장치에 있다면 이를 RAM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뒤 실행합니다.
RAM의 용량은 컴퓨터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RAM의 용량이 클수록 swap-in & out 과정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 램은 컴퓨터의 성능과 빠른 작업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램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이 늘어나고, 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져 작업 효율이 향상됩니다.
📍 용량의 의미
: 램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기가바이트(Gigabyte, GB) 단위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8GB 램은 8 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램을 나타냅니다.
📍 램 용량의 중요성
📍 전송 속도 (Transfer Speed)
: 램은 데이터를 CPU나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로 빠르게 전송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속도를 표현하는 지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DDR4 2400MHz는 초당 2400만 번의 사이클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램을 의미합니다.
📍 시스템 버스와의 호환성
: 램의 성능은 주로 시스템 버스와의 호환성에 의존합니다. 램의 전송 속도가 시스템 버스와 일치하지 않으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램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
: 듀얼 채널 램(두 모듈을 함께 사용하여 대역폭을 높임) 및 램 튜닝과 같은 기술은 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RAM의 종류는 크게
DRAM
,SRAM
,SDRAM
,DDR SDRAM
이 있습니다.
💡
DRAM
은 저장된 데이터가 동적으로(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RAM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소멸을 막기 위해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재활성화 해야 합니다.
이런 단점에도 다음과 같은 장점으로 DRAM을 메모리
로 사용한다.
💡
SRAM
은 시간이 지나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DRAM보다 높은 성능을 가집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SRAM은 '대용량으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지만 속도가 빨라야 하는 저장 장치'인 캐시 메모리에 사용됩니다.
💡
SDRAM
은 클럭 신호에 동기화된, 발전된 형태의 DRAM입니다.
클럭에 맞춰 동작하며, CPU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DDR SDRAM은 SDRAM의 대역폭을 넓혀 속도를 빠르게 만든 것입니다.
📍 대역폭이란 데이터를 주고받는 길의 너비를 의미한다.
즉, 한 클럭에 하나씩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SDRAM에 비해 한 클럭당 두 번
씩 CPU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집니다.
➡️ 전송 속도가 SDRAM에 비해 두 배 가량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