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학교에 페인트가 칠해진 길이가 n미터인 벽이 있습니다. 벽에 동아리 · 학회 홍보나 회사 채용 공고 포스터 등을 게시하기 위해 테이프로 붙였다가 철거할 때 떼는 일이 많고 그 과정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곤 합니다. 페인트가 벗겨진 벽이 보기 흉해져 학교는 벽에 페인트를 덧칠하기로 했습니다.
넓은 벽 전체에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대신, 구역을 나누어 일부만 페인트를 새로 칠 함으로써 예산을 아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벽을 1미터 길이의 구역 n개로 나누고, 각 구역에 왼쪽부터 순서대로 1번부터 n번까지 번호를 붙였습니다. 그리고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할 구역들을 정했습니다.
벽에 페인트를 칠하는 롤러의 길이는 m미터이고, 롤러로 벽에 페인트를 한 번 칠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롤러가 벽에서 벗어나면 안 됩니다.
구역의 일부분만 포함되도록 칠하면 안 됩니다.
즉, 롤러의 좌우측 끝을 구역의 경계선 혹은 벽의 좌우측 끝부분에 맞춘 후 롤러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벽을 칠합니다. 현재 페인트를 칠하는 구역들을 완전히 칠한 후 벽에서 롤러를 떼며, 이를 벽을 한 번 칠했다고 정의합니다.
한 구역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도 되고 다시 칠해야 할 구역이 아닌 곳에 페인트를 칠해도 되지만 다시 칠하기로 정한 구역은 적어도 한 번 페인트칠을 해야 합니다. 예산을 아끼기 위해 다시 칠할 구역을 정했듯 마찬가지로 롤러로 페인트칠을 하는 횟수를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정수 n, m과 다시 페인트를 칠하기로 정한 구역들의 번호가 담긴 정수 배열 sec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러로 페인트칠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로직만 짜내면 구현하기는 어렵지 않았던 문제이다. 첫 번째 균열이 있는 벽에서 , 롤러의 길이를 벗어나는 균열에서 다시 한 번... 이런 식으로 칠하는 횟수를 카운트 하면 되는 문제였다.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Int, _ m:Int, _ section:[Int]) -> Int {
var brushPoint = 0, currentBrushPoint = 0
for point in section {
if brushPoint == 0 {
brushPoint += 1
currentBrushPoint = point
} else {
if (currentBrushPoint + m) <= point {
brushPoint += 1
currentBrushPoint = point
}
}
}
return brushPoint
}
이런 류의 문제를 풀 때마다 느끼는 점은... 문제 해결을 위한 로직을 대강이나마 생각하는 과정은 쉽지만, 완전한 코드를 짜는데 까지의 시간은 꽤 걸린다는 점이다.
계속 티끌 하나 차이로(그렇게 믿고 싶다) 코드가 오류를 뱉어내니, 이제부터는 Xcode에서 breakpoint를 설정하고 한 줄 한 줄 실행하며 디버깅하면서 코딩하고 있다.
Breakpoint 하나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내고, 디버깅 잘 하고 있는 나를 칭찬하며 [프로그래머스] 덧칠하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