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Protocol과 Packet

황승환·2021년 7월 10일
0

Network

목록 보기
3/4

Protocol

Protocol이란?

  •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신호 체계, 인증, 그리고 오류 감지 및 수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역할에 대한 통신 규약)
  • 역할에 대한 통신 규약을 지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면 정보 전달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입사 지원서를 작성하는데 회사에서 제공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임의로 입사 지원서를 작성하게 되면 정보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네트워크 상에서 미리 정해놓은 것이다.

Protocol의 기능

  • 캡슐화(encapsulation)
  • 흐름제어(flow control)
  •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 오류제어(error control)
  • 주소설정(addressing)
  • 순서설정(sequence)
  • 동기화(synchronization)
  • 세분화와 재합성(fragmentation and reassembly)
  • 다중화(multiplexing)

Protocol의 종류

  • TCP/UDP
  • IP
  • HTTP
    -> Web
    -> Port number: 80
  • HTTPS
    -> Web + Security
    -> Port number: 443
  • MySQL
    -> DBMS
    -> Port number: 3306
  • SSH
    -> 원격 접속
    -> Port number: 22
  • FTP
    -> 파일 전송
    -> Port number: 20/21
  • SFTP
    -> 파일 전송 + Security
    -> Port number: 22

Packet

Packet이란?

  • 정보 기술에서 패킷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이다.
  • 정보를 보낼 때 특정 형태를 맞춰서 보낸다고 이해할 수 있다.
  • 데이터를 해당 규격에 맞는 패킷으로 나누어서 보내고 받는다.

Packet의 구조

  • Version
    -> 사용중인 IP 버전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 TTL(Time To Live)
    -> 패킷이 네트워크에 남아있을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패킷이 라우터를 하나 지날 때 마다 TTL이 1씩 감소한다.
    -> Packet이 목적지로 가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 남아 목적지를 계속해서 찾게 되는 현상을 막아준다. (TTL이 0이 되면 Packet을 버려 traffic을 조절한다.)
  • Protocol
    -> IP Packet의 데이터 부분이 전달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TCP 또는 UDP이다.
  • Header Checksum
    -> Packet이 손상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 Source Address
    -> Packet을 내보낸 장치의 IP 주소이다.
  • Destination Address
    -> Packet이 가야하는 장치의 IP 주소이다.
  • Data
profile
꾸준함을 꿈꾸는 SW 전공 학부생의 개발 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