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0은 주어진 집합 숫자의 갯수 index1~index-1까지의 경우의 수를 구하는 내용조합론으로 풀기도 가능하고 combination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코드를 만들 수 도 있다.나는 문제를 이해하고 DFS로 풀었다.stack을 쌓아가면서 하나씩 po
간단한 소수구하기 문제이다.M과 N의 범위를 지정해서 for문을 돌리면서 (돌리는 값을 i)라고 생각했을 때i값이 소수인지 다시 for문을 돌리면 되는 브루투포스문제이다.다음과 같은 코드로 작성을 했더니 시간초과가 났다.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해 소수를 구했다.에라토
프로젝트가 끝나고 알고리즘에 대해서 고민을 하다보니 알고리즘을 풀 때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해서 어떤 자료구조를 접근해서 시간복잡도를 효율적으로 줄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생각했다.접근방식을 알아보니 생각보다 많은 개념방식들이 있었고한 문제를 다 다르게 접근할 수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