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게시물에서 구획 생성을 했으니, 이제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Virtual Cloud Networks) 를 생성할 차례이다.
순서
1. 구획(Compartments) 생성
2.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Virtual Cloud Networks) 생성
3. 인스턴스(Instances) 생성
4. 예약된 퍼블릭 IP(Reserved Public IP) 할당
5. ssh 서버 접속
6. DB생성
VCN은 말 그대로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사용자가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 이다. AWS 의 VPC(Virtual Private Cloud) 나 마이크로소프트 Azure의 Virtual Network 와 유사한 개념인데,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네트워킹 환경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VCN의 주요 특징은 6가지가 있다.
왼쪽 상단 햄버거 버튼 클릭 > 네트워킹(Networking) >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Virtual cloud networks) 클릭
을 하여 VCN 화면으로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