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03 (React 용어정리1)

박준혁·2023년 2월 3일
0

ui를 building할 수 있는 것이 react다

  • UI(user interfaces) :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볼 수 있는 부분을 만드는 프론트 엔드 영역이다. 리액트는 그런 부분들을 만드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다
  • UI를 Building한다 : 프론트엔드 영역을 구축한다.
  • 리액트는 spa기반의 프론트엔드 개발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다,(컴포넌트 단위)
  • SPA(single Page Application)아키텍쳐
    단 한 개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애플케이션(페북 좋아요 눌렀을 때 페이지 리로딩 돼서 깜빡이게 하는 그런 문제를 없앤다)
  • 만약 MPA(Multi page application)이었으면 페이스북 좋아요 누를 때마다 페이지가 다시 로딩(즉 리렌더링)이 많이 이루어지기때문에 계속 깜빡이게 되고 ux(사용자경험)이 상당히 나빠진다.
    --기존MPA의 문제점

SPA와 MPA의 더 자세한 설명

  • SPA에는 index,html파일 하나밖에 없기때문에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이 약하다.-->검색엔진 즉 로봇이 찾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서버로부터 페이지를 한 개만 받고 그 다음에는 동적으로 계속해서 그려지기 때문에 찾기가 어렵다(SEARCH할 수가없다.)index.html을 한 개만 갖고 있기때문에..
    SEO란 : 구글 엔진

SPA프레임워크 3가지
React.js : 자료가 방대함 --EXPO라는 걸 통해 웹,모바일 개발 가능
VueJS : 배우기 쉽고, 꾸준히, 성장중
AngularJS : 안정적이긴 하지만 무거워서 배우기 힘듬(점유율 낮음)

  • 컴포넌트
    리액트가 채택한 개발 방법 ==모든 게 다 컴포넌트 ->인스타그램의 아이콘, 닉네임, 이미지, 댓글창,좋아요 하트 등 모두 컴포넌트(벽돌같은 존재)

다시 복습 : 어떤 웹사이트에 변경이 일어났다고 할 때(페이스북에서 좋아요 클릭했을때)

  • SPA기반 : 컴포넌트 단위로 변경사항을 반영하기에 깜빡임이 없다(이걸 렌더링이라 한다)
  • MPA기반 : 하나의 변경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전체 페이지를 RE-load

profile
"열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