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TIL

최준호·2022년 9월 3일
0

<목차>

  1. 객체
  2. 회고

1. 객체

  • javascript에는 8가지 자료형이 있다. 이 중 7개는 하나의 데이터(문자열, 숫자 등등)만 담을 수 있어 '원시형'이라 부른다.
  • 객체형은 원시형과 달리 다양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키로 구분된 데이터 집합이나 복잡한 개체까지도 저장할 수 있다.

빈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let user = new Object(); // '객체 생성자' 문법
let user = {}; // '객체 리터럴' 문법
  • 중괄호 {}를 이용하여 객체를 선언하는 것을 객체 리터럴(object literal)이라고 부른다. 보통 객체를 선언할 땐 이 방법을 사용한다.

1-1) 리터럴과 프로퍼티

  • 중괄호 {}안에는 '키: 값'으로 구성된 프로퍼티가 들어간다.
let user = {         //객체 
	name: "Jun".     //키: "name", 값, "Jun"
  	age: 28;		 //키: "age", 값: 30	
}
  • 콜론(:)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키가, 오른쪽에는 값이 위치해준다. 프로퍼티 키는 프로퍼티 '이름' 혹은 '식별자'라고 부른다.
  • 프로퍼티 키는 보통 문자열이다.
  • 값은 어떤 자료형도 가능하다.

1-2) 점 표기법 vs 괄호 표기법

javascript에서 객체 내부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점 표기법, 괄호 표기법 2가지가 있다.

let Jun = {
	nickname: "giant",
  	age: 28, 	
}
//점 표기법
Jun.nickname // giant
Jun.age // 28

// 괄호 표기법
Jun['nickname'] //  "giant"

두 가지 방법 모두 장접이 있다.

점 표기법은 괄호 표기법에 비해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어서 가독청이 좀 더 좋은 것 같다.

괄호 표기법의 장점은 객체의 프로퍼티에 변수를 활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const changeProperty = (object, property, changeValue) => {
  object[property] = changingValue
}

changePropery(Jun, "age", 20) 

// Jun = {nickname: "giant", age: 20}
  • 괄호 표기법을 사용하면 "age" 변수를활용하여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다.

2. 회고

오늘은 토요일이라 그런지 학습이 잘 안되는 날이였다... refresh를 하고싶으면서도 조금이라도 학습을 하지않으면 도태된다는 모순적인 생각에 오늘은 학습을 제대로 하지도, 그렇다고 밖에 나가서 refresh를 한 것도 아닌 어쩡쩡한 하루였다. 월요일에 학습하게 될 객체에 대하여 미리 공부를 해보았고 내일은 마음을 추스려 더욱 학습에 정진해야겠다...!

profile
LV2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