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let user = new Object(); // '객체 생성자' 문법
let user = {}; // '객체 리터럴' 문법
let user = { //객체
name: "Jun". //키: "name", 값, "Jun"
age: 28; //키: "age", 값: 30
}
javascript에서 객체 내부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점 표기법, 괄호 표기법 2가지가 있다.
let Jun = {
nickname: "giant",
age: 28,
}
//점 표기법
Jun.nickname // giant
Jun.age // 28
// 괄호 표기법
Jun['nickname'] // "giant"
두 가지 방법 모두 장접이 있다.
점 표기법은 괄호 표기법에 비해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어서 가독청이 좀 더 좋은 것 같다.
괄호 표기법의 장점은 객체의 프로퍼티에 변수를 활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const changeProperty = (object, property, changeValue) => {
object[property] = changingValue
}
changePropery(Jun, "age", 20)
// Jun = {nickname: "giant", age: 20}
오늘은 토요일이라 그런지 학습이 잘 안되는 날이였다... refresh를 하고싶으면서도 조금이라도 학습을 하지않으면 도태된다는 모순적인 생각에 오늘은 학습을 제대로 하지도, 그렇다고 밖에 나가서 refresh를 한 것도 아닌 어쩡쩡한 하루였다. 월요일에 학습하게 될 객체에 대하여 미리 공부를 해보았고 내일은 마음을 추스려 더욱 학습에 정진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