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Charm 첫사용
print(10 * 5) print('Hello World!') print('Good ' * 3)
데이터
데이터 > 메모리에서 데이터 저장 > PC에서 실행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
number = 20 print(number)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서 데이터를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형, 논리형으로 구분한 것
정수 : int, 실수 : float, 문자(열) : str, 논리형 : bool
score = 85 -> <class 'int'> score = '85' -> <class 'str'>
score = True -> <class 'bool'> score = 'True' -> <class 'str'>
문자
var = 100 -> <class 'int'> var = str(var) -> <class 'str'>
숫자
var = '100' -> <class 'str'> var = int(var) -> <class 'int'> var = '3.14' -> <class 'str'> var = float(var) -> <class 'float'>
var = True -> <class 'bool'> var = int(var) -> <class 'int'> var = 'True' -> <class 'bool'> var = float(var) -> <class 'float'>
그외 데이터
var = '' -> <class 'str'> var = bool(var) -> False
var = ' ' -> <class 'str'> var = bool(var) -> True
print(‘키보드를 통해서 데이터를 입력하세요.’) userInputData= input() print(userInputData)
userInputData =input (‘문자형을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InputData = int(input(‘정수형을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InputData = float(input(‘실수형을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InputData = bool(input(‘논리형을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Name = ‘홍길동’ print(userName)
print(‘User name : ‘, userName)
print(f‘User name : {userName}’)
print(‘User name : {}’.format(userName)) print(‘User age : {}’.format(userAge)) print(‘User name : {}, User age : {}’.format(userName, userAge))
print(‘나의 이름은 {0}이고, 나이는 {1}살 입니다. {0} 이름은 아버님께서 지어 주셨습니다.'.format(userName, userAge))
print(‘User name : %s' % userName) print(‘User age : %d' % userAge) print(‘User name : %s, User age : %d % (userName, userAge)) print('Pi : %f' % 3.14) -> 3.14 print('Pi : %.1f' % 3.141592) -> 3.1 print('Pi : %d' % 3.14) -> 3
전에 배웠었던 부분을 복습하니 기억도 새록새록 나면서 직접 예제들을 풀어가니 성취감이 있었던것 같다
이미 한번 해봤던 부분이라 아직까지는 어려운 부분이 없다
첫날인데도 불구하고 많은 양을 공부하다 보니 조금 헷갈리고 부담스러운 느낌도 들었지만 그만큼 더 몰입이 되어서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크다고 느꼈다 내일은 16 ~ 40 까지 공부할 예정이다
오늘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있을테니 천천히 복습하며 공부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