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erobase

데이터 사이언스 스터디 8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을 찾는 알고리즘의 하나로 순차검색알고리즘, 선형검색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리스트의 인덱스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값을 검색하는 것이다.\-1은 검색 결과가 없음을 나타내는 관용적인 값으로 사용선형검색에서 보초법이란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에 찾으려는 값을
데이터 사이언스 스터디 문제풀이 3
입력한 숫자의 소수를 구하여라1부터 100사이에 난수 10개를 생성한 후 짝수와 홀수를 구분해서 리스트에 저장하고 각각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1일 총 공원 입장객이 100명이라고 할때, 1일 전체 입장 요금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장 고객의

데이터 사이언스 스터디 7
1. 자료구조 > 여러 개의 데이터가 묶여있는 자료형을 컨테이너 자료형이라고 하고, 이러한 컨테이너 자료형의 데이터 구조를 자료구조라고 한다. (묶어서 관리 함) 자료구조 종류 리스트는 안에 있는 데이터를 바꿀 수 있다.(박찬호를 박지성으로 바꿀 수 있음) bu

데이터 사이언스 스터디 6
규칙성을 가지고 나열되어 있는 수들.2, 4, 6, 8, 10...위에서 나열되 있는 수를 형식(일반항)으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다a𝚗 = 2n여기서 2n이 바로 일반항을 의미한다.수열에서 중요한것은 바로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항의

데이터 사이언스 스터디 문제풀이 2
산술연산 계산기를 함수를 이용해서 만들어 보자이동거리와 이동시간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자비행기 티켓 영수증 출력 함수를 만들어보자단순히 연산함수로 하다가 복잡하게 해서 시간을 다 잡아먹었다.함수를 만드는 의미를 생각도 못하고 생각없이 만든 것 같다.다음부턴 함수의

데이터 취업 스쿨 교육 2회차 내용 정리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코드이다. 다양한 조건을 입력하여 빠른 시간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좋았다.이와 동시에 데이터 타입도 변환하는 함수도 같이 사용하면서 살짝 어렵긴 했지만 그래도 멈춰서 반복하니 이해가 되었다.변수라는 개념과

데이터 취업 스쿨 교육 1회차 내용 정리
처음으로 pycharm이라는 사용을 해보았는데, 처음 배웠던 python이라는 프로그램과 크게 다르지 않아 어렵지 않게 사용해볼 수 있었다. 다만 익숙하지 않다보니 사용이 어려웠던 것 같다.print라는 명령어가 직관적이라 좋은 것 같다.입력하고자 하는 코드 내 데이터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9-06 GPT 스터디노트)
GPT 01 GPT 수업 개요 및 자연어 처리 기초 (01 ~ 02), GPT 02 Transformer (01 ~ 05), GPT 03 BERT, GPT (01 ~ 02), GPT 04 Hugging face 라이브러리 (01 ~ 05)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9-05 OpenCV 스터디노트)
OpenCV 04 OpenCV 기초 사용법 - 2 (01 ~ 04), OpenCV 05 명함 검출과 인식 (01 ~ 06), OpenCV 06 얼굴 검출과 응용 (01 ~ 04)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9-04 OpenCV 스터디노트)
OpenCV 01 컴퓨터 비전 시작하기 (01 ~ 05), OpenCV 02 OpenCV 시작하기 (01 ~ 06), OpenCV 03 OpenCV 기초 사용법 - 1 (01 ~ 05)

데이터 사이언스 스터디 문제풀이 1
체중(g)과 신장(cm)을 입력하면 BMI지수가 출력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isdigit함수를 이용해 input함수에 숫자를 입력하는가 문자를 입력하는가에 따라 조건식을 진행 시킬 수 있음(하지만 판별만 할 뿐 별도로 숫자로 변환 시켜야 함)isdigit() : 숫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8-29 DL 스터디노트)
DL 06 Transfer Learning, DL 07 Auto encoders, Image Augmentation, DL 08 YOLO, DL 09 RNN (41 ~ 57)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8-28 DL 스터디노트)
DL 04 Review of Deep learning, DL 05 Basic of Pytorch 27 ~ 40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8-26 DL 스터디노트)
DL 02 Deep Learning from scratch 09 ~ 15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15기 - (08-25 DL 스터디노트)
DL 01 Beginning of Deep learning 01 ~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