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 기본 명령어

김예희·2023년 8월 6일
0

pwd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알려준다.

cd 폴더이름

하위 폴더로 이동한다.

cd ..

상위 폴더로 이동한다.

cd ~

사용자의 홈 폴더로 이동한다.

cd /folder1/folder2

folder1 안에 있는 folder2로 이동한다.

cd -

지금 폴더로 이동하기 바로 전 폴더로 이동한다.


ls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ls -al

숨겨진 폴더 등 상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으로 시작하는 폴더나 파일은 숨김 폴더/파일 이다.


리눅스와 권한

  • 운영체제는 사용자/리소스 권한을 관리한다.
  • 리눅스는 사용자/그룹으로 권한을 관리한다.
  • root는 슈퍼관리자이다.
  • 파일마다 소유자, 소유자 그룹, 모든 사용자에 대해 읽고, 쓰고, 실행하는 권한을 관리한다.

✔️ 읽고, 쓰고, 실행하는 권한을 표시하는 방법

drwx------ : d로 시작하면 폴더
-rw-r--r-- : -로 시작하면 파일

예를들어 -rwxrw-r-x는 순서대로 소유자의 권한, 그룹의 권한, 기타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낸다.

해석하자면,
rwx: 이 파일의 소유자는 이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다.
rw-: 그룹의 다른 사용자는 이 파일을 읽고, 쓰기는 할 수 있지만 실행은 하지 못한다.
r-x: 소유자도 아닌, 그룹에 속하지도 않은 기타사용자는 이 파일을 읽고 실행할 수 있지만, 쓰기는 안된다.


chmod : 파일 권한 변경

  • 숫자를 사용하는 방법

읽기(r) = 4
쓰기(w)= 2
실행(x)= 1
로 표기되며 소유자, 그룹, 기타사용자 각각의 합을 모은다.

rwxrwxrwx = 777
-> 모든 사용자가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다.
r-xr-xr-x = 555
-> 모든 사용자가 읽기, 실행만 가능하다.
r-------- = 400
-> 소유자만 읽기가 가능하다.

chmod 400 mysecurity.pem
-> mysecurity.pem 파일의 권한은 소유자에게만, 읽기만 가능하도록 한다.

chmod -R 777 directory
-> directory 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의 권한을 777로 바꾼다.


cat: 파일 보기

cat .bash_history
-> bash_history 파일의 내용이 출력된다
-> 지금까지 명령한 기록들도!


rm: 파일 및 폴더 삭제

  •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형태: rm -rf 디렉토리명
  • r 옵션: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 f 옵션: 강제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기본적으로 리눅스에는 휴지통이 없기 때문에, root와 같은 슈퍼관리자로는 작업하지 않는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8월 6일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