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66] Tech Article: 혁신생태계로 플랫폼 강국을

grl pwr·2022년 7월 27일
0

내용 발췌:

"미국 실리콘밸리의 소득은 2021년 기준 미국 전체 평균 소득의 2배가 넘는다. 구글, 애플 등 실리콘 밸리 주요 기업 25개는 이 지역 기술 분야 일자리의 약 40%를 차지하며 기술 분야 성장률과 지역 고용 점유율에서 계속 미국을 선도하고 있다. 2021년 실리콘밸리에서 총 32개의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가 있었는데 2000년 이후 가장 많은 건수이며, 벤처캐피털 투자는 2021년 실리콘밸리와 샌프란시스코를 합쳐 950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 Open Innovation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이란 기업이 내부적으로 국한되지 않고 외부 조직 및 관계자와 협업하여 새로운 제품,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픈 이노베이션을 처음 주창한 사람은 미국의 하버드대학 교수인 헨리 체스브로(Henry W. Chesbrough)이다. 체스브로 교수는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형 시장에서는 기술우위 제품을 선제적으로 출시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 강조했다.

체스브로 교수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유형을 내향형(outside in)과 외향형(inside out)으로 분류했다. 내향형 오픈 이노베이션은 기업이 연구, 개발, 상업화의 과정에서 외부의 기업이나 연구소, 대학 등으로부터 지식이나 아이디어 등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외향형 오픈 이노베이션은 기업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아이디어를 외부에 내보내서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상업화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까지는 기업들이 오픈 이노베이션을 한다고 하더라도 자사의 지식과 기술을 방어하려는 경향을 버리지 못하여 내향형 혁신을 추구하는 경우가 더 많다.

외향형 오픈 이노베이션의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기술 판매와 스핀오프가 있다. 기술 판매란 자사의 기술을 판매하여 타사로부터의 로열티 수입을 통해 수익창출을 극대화하고 기술 표준을 정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경우가 많다. 스핀오프(spin-off)는 벤처기업을 설립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화를 추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사업다각화 모색, 신성장 동력 사업 창출등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오픈 이노베이션의 프레임워크를 5가지 구성 요소와 개방성(openness)의 정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하여 비교해볼 수 있다"

한국의 정부 규제 이슈는 테크 산업에만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Uber 승차공유서비스도 한국 정부 규제로 인해 금지 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2015년 3월 10일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소위 '우버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우버는 기존의 택시서비스와 달리 사업자가 택시를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택시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객들을 스마트폰의 앱(app)을 통해 일반 자가용, 개인택시 등 근거리의 다양한 운전수들과 매개하고 중계수수료를 받는 일종의 “매칭”(matching) 서비스를 의미한다(Roth& Peranson, 1999). 고객의 입장에서 우버는 보다 편리하고 친절한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익과 강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버는 기존 택시사업자와 기사 외에도 누구나 우버 택시기사로 활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장구조를 교란하고 침해하는 위험을 아울러 지니기도 한다(고준호, 2015).

정보 출처:

https://www2.deloitte.com/content/dam/Deloitte/kr/Documents/insights/deloitte-korea-review/21/DI-No.21_Chapter02_1.pdf

profile
4대륙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