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을 진행하면서 올해 중순에 SSAFY가 종료를 앞두고 있던 시점, 혹시 준비하는 기간이 더 길어질까 우려하여 기업에 원서를 작성하는 동시에 다양한 부트캠프, 교육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었다.
그 결과, 나에게 가장 잘 맞는 교육 과정은 42Seoul이라고 생각하여 지원을 하게 되었다.
이유라면 여러 가지가 있었겠지만 그 중에서는 타 부트캠프 과정 대비 자율적인 학습 및 시간적인 유연성, 상대적으로 Low-Level의 언어를 다룬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체크인과 라피신을 성공적으로 신청한 뒤에 라피신 과정을 기다리던 도중, 몇몇 기업에 최종 합격 발표를 받게 되었다. 원래 과정 포기를 진행하려고 했지만, 현업에 있는 42 카뎃들의 이야기나 42 교육 과정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병행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초반에는 전력으로 진행하고 그 뒤에는 직장과 병행으로 진행하였다.
42 과정에 관해서 알아본 사람들은 어느 정도 알고 있겠지만, 입과 진행 전에 라피신이라고 불리는 프리코스 과정이 있다. 이 과정이 상당히 혹독한 편인데..
아마 베이스가 없는 비전공자라면 따라가기도 벅찰 것이고, 어느 정도 프로그래밍 지식이 있는 비전공자라면 열심히 한다면 소기의 성과를 거둘 것이라 생각한다. 전공자의 경우라면 다른 이유로 과정에 집중을 못했거나, 억까를 당하지 않는다면 본 과정 입과는 어렵지 않았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42에서 진행하는 교육은 대학 과정과 유사성이 상당한지라 오히려 비전공자에게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대학에서 이미 관련 교육을 충실하게 수행했다면 전공자에게는 42에서 주는 지원금 + 기타 제도들을 제외하면 이점이 타 부트캠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해보였다.
본인이 입과를 고려하게 된 이유에는 지원금과 별개로 전공 지식의 부재를 채워줄 수 있는 좋은 교육 과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그러한 대전제가 취업을 했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라피신 과정을 끝까지 완주할 수 있었다.
(당연하게도 취업 이후로는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다행히도 좋은 결과를 얻어 이번 42Seoul 10기로 본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회사에서 맡고 있는 직무와 비슷한 기술 스택을 사용하기 때문에 양쪽으로 좋은 선순환을 일으킬 수 있을 거 같아 기대가 된다.
일반적으로 적당히 나올 수 있는 과정에 대한 질문을 답변해보자면,
초기 기수는 몰라도 재도전이 가능해졌고, 정보가 많이 노출된 지금 시점에는 불가능에 가까움
아직 학부에 있을 기간이 많이 남은 전공생, 취업을 고려치 않고 기간을 길게 잡고 기반 지식을 쌓고자 하는 비전공자.
C 언어의 기초적인 개념과 접했을 때 바로 이해가 어려울 수 있는 포인터 등 많이 알수록 좋음, 다들 Shell 사용법에 대해서 강조를 하는데 거기에 Git 사용법을 숙지하라는 조언을 추가적으로 더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첫 Rush 팀원들이 너무 좋은 사람들이었고, 끝까지 그 분들과 완주한 입장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기회가 온다면 놓치지 않고 어울려주길.. 개발자는 코딩 못지 않게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