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 설계] 8주차-1일차: MSA와 모놀리틱 아키텍처 비교와 MSA 장단점 및 도입시 고려사항
[MSA 설계] 8주차-2일차: MSA DDD 설계 및 구현 실습
[MSA 설계] 8주차-3일차: MSA 데이터 설계 전략 실습
[MSA 설계] 8주차-4일차: MSA 운영 및 모니터링 구축 실습
[MSA 설계] 8주차-5일차: MSA 애플리케이션 배포 자동화 CI/CD 구축 실습
[MSA 설계] 9주차-1일차: 클라우드 및 Docker 개념 학습
[MSA 설계] 9주차-2일차: Docker 이미지 생성 및 docker hub 실습
[MSA 설계] 9주차-3일차: Docker 네트워크 및 데이터 관리
[MSA 설계] 10주차-1일차: Kubernetes 개념 및 Minikube 설치 및 구성
[MSA 설계] 10주차-2일차: k8s Pod와 Deployment 관리 실습
[MSA 설계] 10주차-3일차: k8s Service 및 Ingress 컨트롤러 실습
[MSA 설계] 10주차-4일차: k8s 볼륨, PV, StatefulSets의 이해 및 실습
[MSA 설계] 10주차-5일차: k8s ide 도구인 lens를 통해 이벤트 로깅 실습
[모니터링 ELK 스택] 11주차-1일차: ElasticSearch 아키텍처 이해 및 구축 실습
[모니터링 ELK 스택] 11주차-2일차: ElasticSearch 데이터 집계 및 고급 검색
[모니터링 ELK 스택] 11주차-3일차: Kibana를 통한 대시보드 생성, Logstash 구성요소 이해 및 ELK 파이프라인 구성 실습
[모니터링 ELK 스택] 11주차-4일차: 로그 설계 전략
[모니터링 ELK 스택] 11주차-5일차: ELK 스택 기반의 로그 적재 구축 실습
[장애 발생 대응] 12주차-1일차: 장애 심각도(Level) 정의 및 SLA/SLI/SLO 설계, 장애 발생 원인 분석
[장애 발생 대응] 12주차-2-3일차: 장애 발생 원인 분석 및 해결방법 & 장애 대응 프로세스 구축
[장애 발생 대응] 12주차-4일차: 장애 시뮬레이션 실습 (Python 애플리케이션에서 CPU 및 메모리 과부하 상황 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