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는 기본적으로
print()
위 코드가 출력을 담당한다.
여기서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큰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로 감싸야 문자열로 인식이 된다.
print("큰따옴표")
print('작은따옴표')
주의할점은 큰 따옴표를 출력하고 싶을때는 작은따옴표로 감싸고 반대일때는 반대로 한다.
print('"큰따옴표"')
print("'작은따옴표'")
print문 안에서 쉼표(,)로 문자열을 연결할시 띄어쓰기와 함께 출력이 된다.
print("띄,어,쓰,기")
print 문 안에서 더하기(+), 빈칸으로 연결할시 띄어쓰기 없이 출력이 된다.
print("띄+어+쓰+기")
print("띄 어 쓰 기")
꿀팁: 보통 기호 뒤에는 띄어쓰기를 넣는다. 보편적인 관행은 지켜주는 것이 좋다.
한번의 print()로 여러 줄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괄호안에 3개의 따옴표를 쌍으로 넣으면 된다.
print("""<줄거리>
서로가 최고의 친구였던 자매 '엘사'와 '안나'.
하지만 언니 '엘사'에게는 하나뿐인 동생에게 조차 말 못한 비밀이 잇다.
모든 것을 얼려버리는 신비로운 힘이 바로 그것.
'엘사'는 통제할 수 없는 자신의 힘이 두려워 왕국을 더나고,
얼어버린 왕국의 저주를 풀기 위해 '안나'는 언니를 찾아 환상적인 여정을 떠나는데...
[출처: 네이버영화]""")
이와 달리 처음과 끝에 줄 바꿈을 추가 하면
print("""
<줄거리>
서로가 최고의 친구였던 자매 '엘사'와 '안나'.
하지만 언니 '엘사'에게는 하나뿐인 동생에게 조차 말 못한 비밀이 잇다.
모든 것을 얼려버리는 신비로운 힘이 바로 그것.
'엘사'는 통제할 수 없는 자신의 힘이 두려워 왕국을 더나고,
얼어버린 왕국의 저주를 풀기 위해 '안나'는 언니를 찾아 환상적인 여정을 떠나는데...
[출처: 네이버영화]
""")
3개의 따옴표 쌍 사이의 줄 바꿈은 모두 문자처럼 인식되기 때문에 실행 결과 문단의 처음과 끝에도 줄 바꿈이 생긴다.
한줄 주석운 샵(#)으로, 여러 줄 주석은 따옴표 3개 쌍으로 적는다.
#한국어
print("안녕")
#영어
print("Hello")
"""
이것은 여러 줄 주석입니다
김변수와 함께하는 파이선 프로그래밍
"""
print("Hello World!)
end 옵션은 출려하는 문장 맨 끝에 붙일 문자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print("나는 말 끝에", "항상 ㅋㅋ을 붙여",end="ㅋㅋ")
end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줄바꿈이 되지 않는다.
print("줄 바꾸지마")
print("제발!!")
print(" 바구지 마",end="")
print("제발!!!")
print("잘했어!")
end 옵션을 따로 작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end 옵션의 기본값이 \n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기호는 원화 기호로 쓰면되는데 폰트에 따라 백슬래시가 표시 되기도 하고 원화로 표시 되기도 한다.
print("나는\n파이썬이\n좋아요.")
\n은 줄바꿈 코드로 \n이라는 문자가 출력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줄 바꿈이 된다.
sep 옵션을 사용하면 쉼표로 나열된 여러 문자열을 이어주는 구분자를 지정할 수 있다.
print("전화번호 출력하기")
print("010", "1234", "9876",sep="-")
띄어쓰기 대신 문자를 삽입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