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

신정빈·2022년 7월 1일
0

3-1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안에 만들어 놓은 방이다.
변수 각각에는 고유한 이름을 붙여서 구분한다.

name = "Bob" # name이라는 변수에 Bob 저장
age = 18 # age라는 변수에 18을 저장

수학에서 + 기호는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는 의미지만 프로그래밍에서의 =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함을 뜻한다

print안에 따옴표를 사용할시 문자열로 인식해 변수 이름 자체가 출력되어 나오고
따옴표 사용을 안해야 변수 안에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name = "Bob"
print("name")
print(name)

참고: 필수는 아니지만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 기호 앞뒤에 띄어쓰기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변수의 데이터는 새로운 데이터를 넣을때마다 기존의 데이터는 사라지고 다른 데이터로 덮어씌어진다.

name = "Bob"
print(name)
name = "Kelly"
print(name)
name = "Jin"
print(name)

변수의 값을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지만,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 변수에 저장할 수도 있다.

a = 10
b = a
print(b)

3-2 자료형

자료형에는 문자열. 숫자(정수, 실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등이 있다.

print(type("문자열"))
print(type(10))
print(type(2.5))
print(type(True))
print(type([123]))
print(type((1, 2, 3)))
print(type({ "name": "byunsoo"}))

여기서 type 옵션은 데이터의 자료형을 나타내준다.

3-3 숫자형

숫자 자료형으로는 대표적으로 정수형(Integer type)과 실수형(Float type)가 있다
int: 정수형: 소수점이 없는 정수, 수를 세는 등 정수가 필요한 여러계산에 사용된다.
float: 실수형: 소수점이 포함된 실수, 분수나 정확한 측정값을 구하는 데 사용되며 평균을 구할 때 많이 쓰인다.

print(type(10))
print(type(0))
print(type(-5))
print(type(5.9))
print(type(0.111))

숫자 자료형의 데이터는 숫자이기 때문에 당연히 기본적인 연산도 가능하다.

3-4 불 자료형

볼 자료형은 참(True)과 거짓(False)을 값으로 가지는 자료형이다.

print(2 > 3)
print(2 < 9)

참(True)과 거짓(False)을 출력하면 불 자료형 그대로 출력되고 불 자료형은 bool로 표시된다.

print(True)
print(False)
print(type(True))
print(type(False))

True나 False의 대소문자를 잘못 작성하면 불 자료형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다음은 오류 코드이다

print(true)

3-5 변수 이름 규칙

|꼭 지켜야할 규칙
(1)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변수 이름 중간이나 뒤에는 숫자가 들어갈수 있지만 숫자로 시작하는 이름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name1 = "Bob"
nam2e = "Kelly"
3name = "Minsu"

(2) 변수 이름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변수 이름 안에 공백이 있으면 그것을 공백이 포함된 1개의 단어로 이해하지 않고 공북으로 구분된 2개의 단어로 이해한다.
다음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score = 80
sco re = 80

(3)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파이썬에서 이미 정해둔 의미를 가진 단어를 예약어라고 한다.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다음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True = "참"

|지키지 않아도 되지만 권장하는 규칙
(1) 변수 이름은 스네이크 케이스 규칙에 따라 짓는다

규칙: 예시: 설명
카멜 케이스: classStudentName: 첫 단어는 모두 소문자, 두 번쨰 단어부터는 첫 글자를 대문 자, 나머지를 소문자로 표기한다.
케밥 케이스: class-student-name: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고 단어는 대시(-)로 구분한다.
파스칼 케이스: ClassStudentName: 단어의 첫 글자는 모두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한 다.
스네이크 케이스: classstudent_name: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고 단어는 언더바()로 구분한다.

파이썬 언어의 공식 문서에서는 변수 이름을 지울 때 스네이크 케이스로 작성할 것을 권장한다.

(2) 변수 이름은 저장할 데이터의 의미를 담아 짓는다.
변수의 이름을 지을 때는 다음과 같이 지장할 데이터의 의미를 담아 짓는 것이 좋다

teacher_name = "Bob"
student-name = "Kelly"
profile
떠오르는 태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