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C++ 프로젝트의 빌드 구성

Taegang Yun·2024년 6월 7일
0

Unreal

목록 보기
1/11

Editor VS Non-Editor

Editor 가 붙은 빌드 구성은 Binaries 폴더에 에디터가 사용할 unrealEditor-XXXX.dll 파일이 생성됨.
Editor가 붙이 잖은 빌드 구성은 XXXX.exe. 파일이 생성됨.
다만, 비주얼 스튜디오의 non-Editor 빌드 구성은 애세 없이 실행 파일만 생성하기에 XXX.exe.파일을 실행하면 에러가 난다.

DebugGame

자세한 디버깅을 위해 최적화가 안된 빌드 결과물을 생성하는 빌드 구성.
최적화가 되지 않았기에, 모든 코드가 실행됨.
따라서 Development 빌드 구성으로 디버깅 하였을 때 생략되던 코드들이 실행돔.

DebugGameEditor

DebugGame과 동일한 수준의 에디터용 .dll 파일을 생성하는 빌드 구성.

Development

중간 수준의 최적화와 디버깅도 가능한 빌드 결과물을 생성하는 빌드 구성

Deveopment Editor

Development 와 동일한 수준의 에디터용 .dll 파일을 생성함.

Shipping

게임의 최종 배포를 위해 최적화된 코드를 만들어 내는 빌드 구성.
다만 .exe 파일을 실행해도 에러남. 에러 없이 완성된 게임을 배포하려면 언리얼 에디터 > File > Zip Package 메뉴를 사용해서 애셋과 실행파일이 모두 묶여진 최종 패키지를 형성해야 함.

소스코드 컴파일 방법

라이브 코딩을 켜지 않는다면, 언리얼 에디터가 .dll 파일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언리얼 에디터가 켜진 상태에서는 .dll 파일은ㄹ 만들수가 없음.
따라서 언리얼 에디터를 끈 상태로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Ctrl+ Shift + B를 통해서 빌드.
빌드가 성공한다면 F5를 눌러서 실행. 이후부터는 에디터가 켜진 상태에서 Ctrl + Shift + F5 를 누르면 에디터가 자동으로 꺼지면서 빌드 + 실행됨.

profile
언젠간 전문가가 되겠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