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을 각각의 역할에 따라 Model, View, Controller로 나누어 설계한 아키텍처 패턴
MVC는 Model + View + Controller를 말한다.
MVC 패턴의 동작 순서는 아래와 같다.
Controller는 여러개의 View를 선택할 수 있는 1:n 구조이다.
Controller는 View를 선택할 뿐 직접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View는 Controller를 알지 못한다.)
View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결국 M-V 사이에 의존성이 존재하게 됩니다
게다가 안드로이드는 Activity(or Fragment)가 Controller와 View 모두 처리하기 때문에 한 클래스에서 MV-C 모두 처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턴이라는 점에 걸맞게 가장 단순합니다. 단순하다 보니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이다.
View와 Model 사이의 의존성이 높다. View와 Model의 높은 의존성은 애플리케이션이 커질수록 복잡해지고 유지 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