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대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연결된다면 네트워크(network)임.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 광신호로 바꿔서 전달하는 물리적 기술과 장비들을 다루는 영역
1계층으로 나누어 구분한다면?
기술을 더 세분화하고, 특정 문제 발생 시 빨리 점검 가능
한 구역 범위: LAN
LAN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 LAN 선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통신하게 하느냐의 기술, 기계를 다루는 영역
브로드캐스팅: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에게 'X컴퓨터 주소가 뭐야?'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
컴퓨터든 스위치든 브로드캐스팅으로 알아낸 주소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까먹음.
-> 일정 시간마다 다시 브로드캐스팅
트래픽: 통신망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
한 네트워크에 수많은 컴퓨터들이 속하게 되면 어마어마한 트래픽 발생
-> 네트워크를 나누자!!
수많은 라우터가 연결되어 전세계 모든 네트워크가 연결된 것: internet
인터넷에서의 구분을 위한 주소: IP 주소
3계층에서 네트워크를 구분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인 형태인 패킷으로 나눠주는 기술: IP 프로토콜
IP에서 사용되는 주소: IP 주소
네트워크에 접속한 모든 기기들에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기술
-> TCP/UDP
: 데이터를 어떻게 목적지까지 전송할지에 대한 기술과 장비를 다루는 영역
URL: 통일된 형식의 컴퓨터의 자원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
ex). https://google.com
https: http의 보안성을 강화한 프로토콜
:의 역할=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해
https: http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에 접속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