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크워크] OSI 7계층

zzzzwso·2023년 6월 16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OSI 7계층

컴퓨터가 인터넷을 이용해 통신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왜 나누었을까?

세분화를 통해 전문성 향상. 고장 시 수리에 용이하기 때문

프로토콜: 다른 기계들이 통신을 하기 위해 서로 지켜야 할 규칙
통신: 전기적 신호를 일치시켜서 정보교환을 하는 행위 / 프로토콜을 일치시켜야 한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신호(아날로그, 디지털)와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다룸.

LAN CARD: 컴퓨터의 0과 1 정보 --> 전기 신호로 변환
NIC(network interface card) = LAN CARD

어떻게 각각의 데이터들을 혼동, 충돌없이 원활하게 다른 컴퓨터로 보내겠느냐는 프로토콜: '이더넷' '토큰링'

같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겹치지 않는 주소 MAC 주소가 있다.
2계층 프로토콜과 MAC 주소를 이용해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기기들의 원활한 통신 가능한 장비: 2계층 스위치

3.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인터넷) 사이에서 컴퓨터를 구분하고 찾아가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 기술
IP: 수많은 컴퓨터들이 각 컴퓨터를 구분하고 찾아가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 (프로토콜)
패킷: IP를 이용해 송신하는 컴퓨터의 위치, 수신하는 컴퓨터 위치르 적은 특정 형태 데ㅣ터
ICMP: 네트워크 계층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메시지 형태로 보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라우터: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고, 빠른 네트워크 길을 찾아주는 장비

4. 전송 계층

어떤 식으로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제대로 전송할지 다루는 계층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정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 UDP( 정확보다 빠른 전송이 목적)

TCP: 3-way-handshake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3가지 확인 과정을 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안정성 보장

UDP: 매우 빠른 통신, 안정성 적다.

신뢰성, 안정성->TCP

빠른 데이터 전송 -> UDP

포트번호: 받는 사람

5. 세션 계층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두 컴퓨터 간의 논리적 연결: 세션
세션을 만들고 유지, 종료할 때 사용되는 기술, 장비

6. 표현 계층

데이터를 필요한 형태로 변환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표현하는 계층

7. 응용 계층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고 다루는 계층

profile
HI ther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