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UDP

박상민·2022년 12월 28일
0

Computer Science

목록 보기
2/29

📌 UDP 통신이란?

  •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 비연결형, 신뢰성 없는 전송 프로토콜
  • 확인 응답이 없기 때문에 TCP 보다 신뢰도가 떨어짐
  • 512 bytes 제한
  • 전송계층
  • 데이터의 처리가 TCP 보다 빠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속성이 장점
  • 실시간 방송과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됨

📌 DNS 에서 UDP 사용하는 이유

  • Request 양이 작음 (UDP Request 에 담길 수 있음)
  • 3 way handshaking 으로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음
  • Request 에 대한 손실은 Application layer 에서 제어가 가능
  • TCP 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를 송신할 때까지 세션 확립을 위한 처리를 하고, 송신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프로토콜 오버헤드가 UDP 에 비해서 큼
  • DNS 는 Application layer 의 프로토콜이라 전송계층의 TCP 또는 UDP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함

📌 DNS 에서 TCP 사용하는 경우

✔ Zone Transfer
DNS 서버 간 요청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transfer

  • Zone Transfer 을 사용하는 경우
  • 데이터가 512 bytes 를넘거나 응답을 못받은 경우

📌 UDP Header

  •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
  • Destination port → 도착지 포트
  • Length → 길이
  • Checksum → 오류검출
    • 중복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이나 시간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
profile
💡 클린코드를 지향하는 Backend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