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에서 robotframework 설치하기!python2, python3, pip가 설치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로봇프레임워크 IDE인 RIDE는 로봇프레임워크 전용 에디터이다.gui를 제공하며 인코딩의 문제 등을 위해 wxPython도 함께 설치한다.설치는 정말 간
Mac과 RIDE 사용을 전제로 한다.테스트 디렉터리 > TestSuite > TestCase를 만들어볼 예정이다.크롬 브라우저로 구글페이지를 열고 닫는것이 이번 테스트 목표이다.먼저 웹브라우저를 열기위해서는 selenium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모든 라이브러리는
크롬에서 구글 접속크롬 닫기이렇게 테스트를 해봤다.이제 URL을 변수처리 해보려 한다.Scalar 변수 : ${a}의 형태로 사용된다.List 변수 : @{b}의 형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배열, 파이썬의 리스트 같은 변수이다.Dict 변수 : ${c}의 형태로 사용
테스트케이스 실행전 준비되어야할 명령 키워드예를 들어, 웹테스트의 경우, 브라우저가 열려있다는 전제조건을 처리테스트케이스가 끝낼때 실행되는 명령 키워드웹테스트의 경우, 브라우저를 닫는다는 조건 처리여기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해 보았다.setup : 크롬 브라우저로 구글
테스트케이스를 그룹화해서 그 그룹만 테스트를 하거나, 뺄때 사용주로 regression, smoke, sanity 테스트에 활용TestCase3, TestCase4를 만들고, 태깅을 한다.왼쪽 트리 테스트케이스에 모두 체크해제를 하고 run탭에서 Tests filter
로봇프레임워크로 수행한 결과는 html 문서로 report, log가 기록된다.테스트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테스트케이스 총 갯수의 Pass/Fail 등이 있어서 제법 괜찮은 리포트이다.생각한글로 테스트케이스를 만들고 제대로 기술한다면 이 파일 공유
텍스트인풋이 여러개있다면? xpath를 활용해야 하는 방법을 찾아봤다.개발자도구에서 엘리먼트 id나 class등을 찾아서 찾아야하는 요소를 찾고 그 값을 xpath로 넘겨준다.네이버 검색창은 input 태그를 사용했고 id="query"이다.click element에
변수와 if문 사용법이다.일반적인 if~else if문이다.값을 세팅하려면 Set Variable 키워드를 사용해서 넣어준다.
for~in구문도 파이썬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