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빌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중 이상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Fast Refresh가 실행된 후 (코드를 수정하고 저장할 때마다 발생) 이메일 블록들이 화면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GitAnimals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한 가지 고민이 있었습니다. 이 서비스는 깃허브 커밋을 통해 포인트를 얻고 그 포인트로 펫을 뽑아 키우는 서비스인데요, 일회용성 접근이 아닌 사용자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싶었어요.
Figma에서 WebP Export 기능이 없어 겪었던 불편함을 직접 해결하고자 플러그인을 개발한 경험을 공유해요.
GitHub Issue를 활용한 피드백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게 잘 돌아가는 것처럼 보였는데, 어느 날 로그를 확인하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죠.
다른 서비스간 로그인 연동 기능에서 특별한 요구사항이 있었습니다. 서비스를 이탈하면, 실패 상태를 다른 서비스에 API로 알려줘야 했죠. 단순히 생각했을 때는 `unload` 이벤트에 API를 호출하면 될 것 같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
React 17에서 18로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면서 예상치 못한 라우팅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스크립트의 전체적인 흐름은 이래요: 어떤 sprite SVG를 만들지 선택해요. 선택한 키에 따라 sprite map 정보를 가져와요. SVG 리스트 데이터로 sprite SVG를 생성해요. 생성된 sprite SVG를 파일로 저장해요. 스크립트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아요: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스크립트가 동작하여 countryCode....
"이 버그 좀 고쳐주세요!", "이런 기능이 있으면 좋겠어요!" GitAnimals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니 이런 피드백들이 종종 들어오곤 했어요.
코드를 실행하면 useEffect가 한 번만 실행될 것으로 예상하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콘솔을 확인해보면, useEffect 실행이 두 번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걸까요?
요구사항 : 뒤로가기 버튼 클릭, 또는 뒤로가기 동작 (브라우저 동작)이 일어나면, 정말 끝내시겠습니다?라는 모달이 뜨게 됩니다.
10MM 서비스는 "하루 10분으로 시작하는 습관 만들기"입니다.이 "하루 10분"을 측정하기 위해 스톱워치 기능이 필요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