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 입문 강의를 듣다 maven, gradle에 대한 내용이 짧게 언급되었다.(요즘엔 거의 gradle을 쓰면 된다는 내용) maven은 학교 수업에서 언젠가 과제할 때 본 적 있었고 gradle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쓴 적 있었다. 하지만 둘의 역할이 무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듣던 중,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것 같아 정리해보았다. 내용은 예전에 공부했던 네이버 부스트코스의 웹 프로그래밍 풀스택 강의 필기 내용이다.웹 서버는 보통 소프트웨어를 말하지만,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컴퓨터를
장고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 웹 서버로 nginx를 이용하여 배포한 경험이 있다. 찾아보니 기본적으로 nginx는 동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멀티 프로세스, 싱글 스레드 방식을 이용한다고 한다. 이후,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개념과 스프링 부트에 내장되어 있는
출처 : 인프런 스프링 MVC 1편 김영한님 강의HTTP 요청 메시지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다.위처럼 메시지 바디 없이, URL의 쿼리 파라미터에 데이터를 포함해서 전달한다. 검색, 필터, 페이징등에서 많이 사용하
출처: 인프런 김영한님 스프링 웹 MVC 1편스프링에서 응답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다.예) 웹 브라우저에 정적인 HTML, css, js을 직접 제공할 때 사용스프링 부트의 경우, 클래스패스의 다음 디렉토리에 있는 정적 리소스를 제공/static ,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