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 접근성 : 모든 사용자가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 신체적 조건 : 비장애인, 장애인, 고령자 모두 사용할 수 있을것
* 환경적 조건 : 다양한 기기, 운영체제, 웹브라우저 등에서 모두 접근 가능할 것
1-1. 웹 접근성의 필요성 :
-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 규제에 관한 법률 규정 준수
- 다양한 환경과 새로운 기기 대응
- 개발 및 운용의 효율
- 기업 이미지 재고, 웹접근성에대한 규제가 국내보다강한 해외 진출을 고려
2. 웹 표준 :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 웹 접근성 수준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의 방법론으로 인식됨
2-1.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 웹 표준화 관련 국제 기구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 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웹 서비스에서 장애인의 접근성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라는 산하 단체를 설립하여 웹 접근성 지침 마련
- 인지성(Perceivable) : 정보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들이 인지 할 수 있어야함
- 운용성(Operable) :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와 탐색은 운용 가능해야한다(예) 키보드로 모든 기능을 사용 할 수있어야함, 광과민발작 유발 콘텐츠 디자인하지 않아야함)
- 이해성(Understandable) : 정보와 사용자인터페이스 운용은 이해할 수 있어야한다
- 견고성(robust) : 콘텐츠는 다른 에이전트에의해 해석 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야한다
2-2. 관련 기술
- 구조 언어 (XHTML) : HTML은 국제 표준 기구 ISO가 채택한 웹에서 사용하는 표준 마크업 언어. HTML은 태그 운용법이나 오류의 처리 방법 등이 일반적인 컴퓨터 언어보다 매우 관대하다는 특징이있음. 따라서 W3C에서는 XML(웹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을 제안한 것이 XHTML(HTML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XML처럼 엄격한하게 태그를 운용해야함
- 표현(CSS : Cascading Style Sheet) : 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수정 변경하는 데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짐 css를 이용하여 웹 스타일을 미리 저장 가능 문서의 일관성을 유지 할 수 있음
- 동작(Script) : 웹 페이지 요소를 객체화 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웹 표준 기술은 DOM(Document Object Model, 웹 페이지 구성체계 HTML을 작성하면 생성되는 논리적 규칙)를 이용하여 객체 모델에 접근한 후 스크립트 스크립트 언어 ECMA Script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요소의 동작을 제어
2-3. 웹 표준의 필요성, 효과
- 웹접근성 수준의 향상
- 검색 친화적인 웹 사이트 구현
- 구조와 표현의 분리
- 손쉬운 유지 보수
3. 웹 호환성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훈 운용성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
3-1. 웹 호환성의 필요성, 효과 : 다양한 운영체제, 브라우저 대응, 웹 호환성 미준수 시 발생하는 보안 문제
레퍼런스
1) https://news.seoul.go.kr/gov/archives/47485
(웹 접근성 및 웹 표준 준수 가이드 안내)
2) https://seulbinim.github.io/WSA/accessibility.html#%EC%9E%A5%EC%95%A0%EC%9D%B8-%EC%B0%A8%EB%B3%84-%EA%B8%88%EC%A7%80-%EB%B0%8F-%EA%B6%8C%EB%A6%AC-%EA%B5%AC%EC%A0%9C-%EB%93%B1%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EC%9D%98-%EC%9D%B4%ED%95%B4
3) http://www.smartebiz.kr/new/subpage02_02.html
4) http://www.websoul.co.kr/consulting/compatibility.asp(국내 관련 규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