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웨이(외부망)의 반대쪽에 위치한 보호/내부망에 상주하는 호스트에 대한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며, 통신하는 목적지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내부 호스트에 다시 매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외부망과 내부망은 물리적으로 접근이 통제 되어있기 때문에 쉽게 접근 할 수가 없기때문에 포트 포워딩을 통하여 가능하게 한다.
PC들은 각각의 고유 주소(IP)를 가지고 있다.
고유 IP에 특정 포트를 부여해줌으로써 내부망에 특정 PC를 찾아갈 수 있도록 설정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외부 IP 222.123.123.12:3306 으로 접속할 경우 라우터(공유기)는
설정된 출발지(포트 : 3306)를 확인 후
매칭 되는 목적지(포트:3306)로 연결시켜준다.
이렇게 포트를 이용하여 외부망에서 내부망을 접근할수 있게 해준다.
- 내부망 : 물리적 망분리, 접근통제시스템 등에 의해 인터넷 구간에서의 직접적인 접근이 통제 또는 차단되는 구간
- DMZ구간 : 인터넷과 내부망과 인터넷 구간 사이에 위치한 중간지점으로 침입차단시스템 등으로 접근 제한 등을 수행하지만 외부망에서 직접 접근이 가능한 영역
- 인터넷구간 : 개인정보처리 시스템과 인터넷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