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레코드(record)는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과 IP 주소(IP address) 또는 도메인 네임 간에 맵핑 정보를 담고 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어떤 도메인 네임을 입력해서 접속하려고 하면,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한 DNS 레코드를 찾아서 최종적으로 어떤 IP 주소로 해당 사용자를 접속시켜야 하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DNS 레코드에는 A타입, CNAME타입, ALIAS타입 등 여러가지 유형이 있다. 각 DNS 레코드 타입의 특징을 이해하려면 우선 루트 도메인 네임과 서브 도메인 네임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루트 도메인은 google.com, daum.net과 같은 형태를 띄운다. 도메인 등록 서비스로 부터 도메인 네임을 구매할 때 위 주소와 같은 단위로 구매를 하게 된다.
반면에 서브 도메인은 루트 도메인 앞에 추가로 글자가 더 붙여서 해당 도메인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네이버는 news.naver.com 서브 도메인을 통해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dict.naver.com 서브 도메인을 통해 사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른 예로 온라인 백과사전 사이트인 위키피디아의 영문 사이트의 서브 도메인은 en.wikipedia.org이고 한글 사이트의 서브 도메인은 ko.wikipedia.org이다.
여기서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은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www.로 시작하는 도메인도 엄밀히 얘기해서 서브 도메인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www.google.com과 www.wikipedia.org는 모두 서브 도메인이다.
웹사이트에 도메인 네임을 연결할 때 사용자가 루트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은지 아니면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지 싶은지, 그리고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다면 그 서브 도메인의 이름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이 어떤 레코드 타입을 사용할 지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서 A 레코드는 도메인 네임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레코드 중 하나다.
DNS A 레코드에는 도메인 네임과 연결하려는 호스트 컴퓨터(또는 호스트 네임)의 IP 주소가 포함된다. 도메인 네임이 등록된 사이트가 아닌 다른 서버에서 호스팅되는 웹사이트가 있는 경우 A 레코드가 가리키는 위치는 아마도 이 서버일것이다.
호스트 네임은 A 레코드를 통해 IP 주소에 연결된다. 레코드의 이니셜은 주소 또는 A를 의미한다. DNS 영역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레코드 중 하나인 이 레코드는 DNS 설정에 매우 중요하다. 제공된 호스트의 IP주소(IPv4)는 레코드 A에 지정된다. A 레코드는 가장 기본적인 유형의 DNS 레코드로, 도메인 네임을 특정 IP 주소로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즉, 특정 도메인에 매핑하는 IP주소(IPv4)를 알려준다.
간단히 말해, A 레코드는 "daum.net"의 IP 주소가 'xxx.xxx.xxx.xxx'이다 라고 말하는 역할을 하는것이다.
단일 도메인 네임에 대해 여러개의 A 레코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IP 주소에 여러 웹 서버를 설정하려는 경우(중복성을 추가하기 위해) 각 서버의 IP주소에 대해 A 레코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A 레코드로 여러 개의 메일 서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반대로 도메인 네임 여러개에 단일 A 레코드를 가질 수도 있다.
참고
https://powerdmarc.com/ko/what-is-a-dns-a-record/
https://blog.o3g.org/network/dns-record/
https://www.daleseo.com/dns-records/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