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owflake 에디션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뜬다.
standard를 선택해 주면 된다.Snowflake는 GCP 기반인 BigQuery, AWS 기반인 Redshift와 달리 다양한 글로벌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Azure, AWS, Google Cloud Platform 중 사용할 플랫폼을 선택해 주면 된다.
Sign Up 시 입력한 이메일로 메일을 발송해 준다.
CLICK TO ACTIVATE를 하면 다음과 같이 Username과 Password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뜨게 된다.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한 후 Get started를 누르면 회원가입이 완료되고 로그인이 된다.
Wordsheets는 Snowflake가 제공하는 웹 에디터 서비스이다.Worksheets 화면으로 이어지게 된다.이름과 계정의 권한이 뜨게 되는데 현재는 ACCOUNTADMIN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계정 권한은 드롭 다운을 통해 변경해 줄 수 있다.
드롭 다운 버튼을 눌러 주면 다음과 같이 Switch Role을 통해 쉽게 역할(Role)을 변경할 수 있으며 Redshift와 달리 Snowflake는 그룹(Group)의 개념이 없고, 역할(Role)만 존재한다.
Worksheets는 Python 개념으로 치면 notebook의 개념이다. 또한 몇몇 파일은 같은 Snowflake Account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공유를 할 수 있고,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도 할 수 있다.Worksheet를 생성 가능하다. 이때 Python, SQL 중 어떤 Worksheet를 사용할 것인지도 선택 가능하며 Folder 생성을 원할 시에 Folder를 선택해 주면 된다.❄️ Worksheets로 계정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 Snowflake 홈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해 주는 것이 아니라 이메일로 온 Snowflake 로그인 URL로 접근해 주어야 한다.

Data -> Databases를 들어가 주면 다음과 같이 Databases를 확인할 수 있다.Snowflake는 두 개의 Database가 default로 생성되어 있으며 더 추가 가능하다. SNOWFLAKE와 SNOWFLAKE_SAMPLE_DATA가 default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이다.Database를 선택해 주면 Database 내에 있는 스키마(schema)들을 볼 수 있다.
스키마(schema)를 선택해 주면 그 스키마에 해당하는 구성을 볼 수 있는데 테이블(Tables), 뷰(View), 함수(Function) 등을 볼 수 있다.
웨어하우스(Warehouses)를 확인하고 싶다면 Admin->Warehouses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X-small 사이즈의 웨어하우스(Warehouse)가 생성되어 있다. 플러스 Warehouse 버튼을 통해 웨어하우스(Warehouse)를 추가해 줄 수 있다.
웨어하우스(Warehouse)를 선택해 줄 때 Size를 선택해 줄 수 있으며 각각 Size에 따른 시간당 크레딧이 나오게 된다.❄️ Snowflake Warehouse에서 Credit이란?
- 쿼리 실행과 데이터 로드, 기타 작업 수행에 소비되는 계산 리소스를 측정하는 단위
- 1 credit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 ~ $4의 비용이 발생
❄️ Snowflake 비용 구조
- 크게 3 가지 컴포넌트로 구성
- 컴퓨팅 비용:
크레딧으로 결정- 스토리지 비용:
TB 당으로 계산- 네트워크 비용:
지역간 데이터 전송혹은클라우드 업체가 달라질 시 다른 클라우드 간 데이터 전송 시 TB 당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