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프로그래밍 css (18) 줄 속성 line-height

코린이서현이·2023년 7월 9일
0

웹프로그래밍

목록 보기
30/46

🔥오늘의 목표🔥

행간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행간을 결정하는 것이나 줄 간격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게 아니라,  [em 박스] + [상하단의 여백]까지를 의미한다.

📕 line-height

📖 line-height의 영역

line-height - `line-height`: em 박스 + 상하단의 여백까지의 영역이다. line-height속성을 이용해서 조정할 수 있다.

📖 line-heigh

  • line-height영역의 높이를 지정한다.
line-height: normal | number | length | initial | inherit ;

📒속성값

  • nomal :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이며 보통 1.2이다.
  • number (상대값) : font-size를 기준으로 설정한 숫자만큼 배율로 적용합니다. 상대값이라는 걸 주의하자!
  • 단위(절댓값) : px,em등 고정 수치로 할당하기 때문에 font size을 고려하지 않는다.
  • % (상대값) : font-size를 기준으로 설정한 퍼센트만큼 배율로 적용한다.

🔴 number%의 부모 자식 상속 차이점

  • number : 자식에게 상속될 때 자식 요소의 font-size를 기준으로 배율을 계산한 값이 적용된다. 자식은 자식만의 line-heigh를 가진다.
  • % : 자식에게 상속될 때 부모요소에서 계산된 값이 적용된다. 자식은 부모의 line-heigh를 가진다.

👉 부모의 line-heigh를 그대로 적용하고 싶으면 % , 자식만의 line-heifht을 적용하고 싶으면 number값을 사용한다.

body { font-size: 20px; line-height: 2; }    			/* line-height = 40px; */
p { font-size: 10px; }                                  /* line-height = 20px; */

body { font-size: 20px; line-height: 200%; }    		/* line-height = 40px; */
p { font-size: 10px; }                                  /* line-height = 40px; */

🔥 number을 추천한다고함.


😎오늘의 배운 점😎

line-height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profile
24년도까지 프로젝트 두개를 마치고 25년에는 개발 팀장을 할 수 있는 실력이 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