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DB Transaction (트랜잭션)

Soo·2023년 2월 23일
0

Transaction이란?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이다.
  •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은 실행 유닛을 말한다.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 -> SQL 명령어를 통해 DB에 접근하는 것

  • SELECT
  • INSERT
  • UPDATE
  • DELETE

작업 단위 -> 많은 SQL 명령문들을 사람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정하는 것

[example]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만원을 송금한다.

  • 이 때 DB 작업
  1. 사용자 A의 계좌에서 만원을 차감한다: UPDATE문을 사용해 사용자 A의 잔고를 변경
  2. 사용자 B의 계좌에 만원을 추가한다: UPDATE문을 사용해 사용자 B의 잔고를 변경
    현재 작업 단위 : 출금 UPDATE문 + 입금 UPDATE문
  • 이를 통틀어 하나의 트랜잭션이라고 함
  • 위 두 쿼리문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만 "하나의 작업(transaction)"이 완료되는 것이다 : "Commit"
  • 작업 단위에 속하는 쿼리 중 하나라도 실패하면 모든 쿼리문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돌려 놓아야 한다. : "Rollback"

즉, 하나의 트랜잭션 설계를 잘 만드는 것이 데이터를 다룰 때 많은 이점을 가져다준다.

▪️ 트랜잭션의 특성

⚡️ ACID

ACID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트랜잭션(transaction)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성질이다.

  • ACID는 주로 주식거래, 금융업 중심에서 사용된다.
    => 주식거래, 금융업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외적인 상황을 줄이고,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보호할 수 있다.

  •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이 DB에 모두 반영되거나, 혹은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 일관성 (Consistency)
    하나의 트랜잭션의 작업 처리 이전과 이후,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는 이전과 같이 항상 일관성 있어야 한다.

  • 독립성/고립성 (Isolation)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되고 있을 때, 어떤 트랜잭션도 다른 트랜잭션 연산에 끼어들 수 없다.

  • 지속성 (Durability)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면,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https://hanamon.kr/%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D%8A%B8%EB%9E%9C%EC%9E%AD%EC%85%98%EC%9D%98-acid-%EC%84%B1%EC%A7%88/

profile
Soogineer's Dev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