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추억 점수

slight-snow·2023년 4월 6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3/8
post-thumbnail

• 난이도

: Level.1

• 정답률

: 57%

• 문제:

: 추억 점수

• 설명:

: 사진들을 보며 추억에 젖어 있던 루는 사진별로 추억 점수를 매길려고 합니다. 사진 속에 나오는 인물의 그리움 점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가 됩니다. 예를 들어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may", "kein", "kain"]이고 각 인물의 그리움 점수가 [5점, 10점, 1점]일 때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는 16(5 + 10 + 1)점이 됩니다. 다른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kali", "mari", "don", "tony"]이고 ["kali", "mari", "don"]의 그리움 점수가 각각 [11점, 1점, 55점]]이고, "tony"는 그리움 점수가 없을 때, 이 사진의 추억 점수는 3명의 그리움 점수를 합한 67(11 + 1 + 55)점입니다.

그리워하는 사람의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name, 각 사람별 그리움 점수를 담은 정수 배열 yearning, 각 사진에 찍힌 인물의 이름을 담은 이차원 문자열 배열 photo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사진들의 추억 점수를 photo에 주어진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3 ≤ name의 길이 = yearning의 길이≤ 100
    • 3 ≤ name의 원소의 길이 ≤ 7
    • name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name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 1 ≤ yearning[i] ≤ 100
    • yearning[i]는 i번째 사람의 그리움 점수입니다.
  • 3 ≤ photo의 길이 ≤ 100
    • 1 ≤ photo[i]의 길이 ≤ 100
    • 3 ≤ photo[i]의 원소(문자열)의 길이 ≤ 7
    • photo[i]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photo[i]의 원소들은 중복된 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nameyearningphotoresult
["may", "kein", "kain", "radi"][5, 10, 1, 3][["may", "kein", "kain", "radi"],["may", "kein", "brin", "deny"], ["kon", "kain", "may", "coni"]][19, 15, 6]
["kali", "mari", "don"][11, 1, 55][["kali", "mari", "don"], ["pony", "tom", "teddy"], ["con", "mona", "don"]][67, 0, 55]
["may", "kein", "kain", "radi"][5, 10, 1, 3][["may"],["kein", "deny", "may"], ["kon", "coni"]][5, 15, 0]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첫 번째 사진 속 "may", "kein", "kain", "radi"의 그리움 점수를 합치면 19(5 + 10 + 1 + 3)점 입니다. 두 번째 사진 속 그리워하는 사람들인 "may"와 "kein"의 그리움 점수를 합치면 15(5 + 10)점입니다. 세 번째 사진의 경우 "kain"과 "may"만 그리워하므로 둘의 그리움 점수를 합한 6(1 + 5)점이 사진의 추억 점수입니다. 따라서 [19, 15, 6]을 반환합니다.

  • 입출력 예 #2
    첫 번째 사진 속 그리워하는 사람들인 "kali", "mari", "don"의 그리움 점수를 합치면 67(11 + 1 + 55)점입니다. 두 번째 사진 속엔 그리워하는 인물이 없으므로 0점입니다. 세 번째 사진 속 그리워하는 사람은 "don"만 있으므로 55점입니다. 따라서 [67, 0, 55]를 반환합니다.

  • 입출력 예 #3
    설명 생략

• 작성 답안:

solution.js

function solution(name, yearning, photo) {
    let result = [];
    
    for(i=0; i < photo.length; i++) {
        //["may", "kein", "kain", "radi"]
        result.push(photo[i].map((person) => {
            if(name.includes(person)) {
                let index = name.findIndex((el) => el === person);
                return yearning[index];
            } else {
                return 0;
            }
        })
    )}
    
    result = result.map((el) => {
        //[5, 10, 1, 3]
        let sum = 0;
        for(i=0; i < el.length; i++) {
            sum = sum + el[i];
        }
        return sum;
    })
    
    return result;
}

• 다른 답안:

solution.js

function solution(name, yearning, photo) {
    let obj = {};
    for(let i = 0; i < name.length; i++){
        obj[name[i]] = yearning[i];
    }
    //console.log(obj) === {may: 5, kein: 10, kain: 1, radi: 3}
  
    return photo.map(value =>
                     //["may", "kein", "kain", "radi"]
                     value.map(v => 
                               //"may"
                               obj[v] ? obj[v] : 0).reduce((acc,cur) => 
                               //obj["may"]가 true면 obj["may"]를, 아니면 0을 반환
                               //[5, 10, 1, 3]
                                                            acc + cur, 0));
                                                            //초기값 0, 배열의 값을 모두 더한다.
}

Array.reduce() 메서드는 이전에 배웠던건데,
무식하게 for 문으로 배열의 요소들을 다 합하다니 이런... :(
Array.reduce() 메서드 오늘 다시금 정리해야겠다.

그리고 배열 상태로 풀기보다 객체 형태로 만들어서 접근하는 것이
코드상으로도 훨씬 깔끔하다.
이런 접근 방법은 배우고 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오늘도 어찌저찌 풀긴 풀었으나, 역시 모범답안을 보니 갈 길이 멀다.
화이팅!

profile
주니어 개발자의 기억을 위한 기록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