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y.log
로그인
terry.log
로그인
AI_Week_4
태리
·
2020년 9월 23일
팔로우
0
AI
Ai입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대
항공대학교
0
AI
목록 보기
4/4
지능 시스템 원래: 엔도모피즘
실세계와 호모모피즘 관계를 갖는 앎(모델)을 자신 안에 가진 시스템과 대상과의 관계성
집합 A와 집합 A' 가 있는데, A'에서 A의 중요한 정보를 갖고 있을 때 A와 A'의 관계를 호모모픽 관계에 놓여있다고 한다.
만약 A'가 B안에 있을 경우, B와 A의 관계는 엔도모픽 관계에 놓여있다고 한다.
지능시스템관계는 A와 B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호모모피즘의 조건
1) Observation: 관찰한 결과가 동일할 때(A와 A'가 관찰한 결과가 동일해야 한다.)
2) Operation: 동일한 값을 입력했을 때, 동일한 출력값이 나와야 한다.
인공지능
감각하고, 판단하고, 행위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앎을 표현
하고
앎을 활용
할 수 있는 시스템
지능
지능은 특별한 영혼이나 물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정보
에서 나온다. 정보는 두 사물 간의 관계성으로서,
인과의 법칙
에 따른 산물이다.
BDI(믿음 - 욕망 - 의도): 내 눈앞에 있는 게 먹잇감이구나 라는
믿음(확신)
이 생기면, 먹어야 겠다는
욕망
이 생기고, 그것을 먹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행동하는 것이
의도
이다.
자아의식?
주변환경에
자신을 대입
하여 모델을 만들고 시뮬레이션 예측을 통해
목표를 성취
하는능력
의식 수준
0단계 의식: 온도, 습도, 햇빛, 중력 등에 대한 즉각적 반응(꽃, 박테리아)
1단계 의식: 감각 제어 및 자율적 반응, 포식자에 대한 인식과 즉각적 반응(파충류)
2단계 의식: 실세계 공간 모델링,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성, 무리 유지, 감정처리(포유류) 2단계 부터 자아개념이 존재함. 상당히 높은 수준의 지능을 보임.
3단계 의식: 과거 평가, 모델의 미래변화 예측, 계획 및 추상적(언어) 사고 (인간) . 뇌도 제일 발달함.
모델링과 시물레이션
모델링: 대상체와 호모모피즘 관계를 갖는 모델의 생성(표현)
시뮬레이션: 모델에 입력을 가하여 출력을 뽑는 과정(가공)
과학 vs 공학
과학: 세상 그리기(진리 탐구 => 원리/원칙/진리 표현)
- 분석/해석/개념화/언어화/추상화
공학: 세상 만들기(진리 활용 => 훌륭한/창조적 물건)
- 창조/상상/욕망/의도
시뮬라시옹
시뮬라르크(이미지): 추상화를 통해 얻은 실세계의 그림자(모델)
- 우리는 이것이 실제인 양 착각함.
시뮬라시옹: 이미지가 실세계를 다시 그려낸다.
하이데거 존재론: 엔도모피즘 관점
"돌과 같은 무기물에는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다른 존재자에 대한 인식 불가
"동물은 세계를 결여하고 있다"
- 본능적으로 정해진 자연세계에 산다
"인간은 세계를 형성한다"
- 스스로 형성한 문화-역사적 개념 세계 안에서 산다.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표상: 이미지, 우리의 인식은 오직 세계에 대한 표상일 뿐이다.
세계는 의지에 의해 추동된다.
표상은 의지가 객관적으로 드러안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세계는 사물의 총체가 아닌 사실의 총체이다.
- 이 세상에는 어떤 독립적인 존재는 없다. 항상 변하고, 여러개의 fact만 있을 뿐.
세계는 기술된다.
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다.
말이 없다면 생각할 수 없다.
대상 자체가 아닌 이미지를 생각할 뿐이다.
뇌와 시뮬레이션
뇌는 세계를 시뮬레이션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는 실재와 매우 유사한 가상현실이다. 전두엽 위쪽에 위치한 시뮬레이션 장치에서는 짧은 영화가 상영된다. 그렇게 시뮬레이션은 우리를 괴롭힌다.
지식표현의 중요성
인공지능의 문제해결 능력은 특정 형식과 추론도구로부터가 아니라, 시스템이 갖고 있는 지식 표현 방식에 달려있다.
앎 = 지식 = 분명한 표현
좋은 표현이란? (Good Representation)
실세계에 있는 하나 하나의 객체들, 그리고 그 객체와 객체사이의 관계들은 매우 중요하고, 그것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한다.
문제에 따라 객체와 객체 사이에는 관계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그런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표현 가능해야 한다.
객체와 관계가 한꺼번에 같이 드러나야 한다.
표현하고자 하는 문제와 필요없는 정보들은 표현하지 않는다.
일부러 감추거나, 숨기면 안되고 투명해야 한다.
완전해야하며, 간결해야 한다.
빨라야 한다.
표현만하고 끝나는게 아니라, 새로운 fact들을 생성해내는게 필요하므로 용이하게 처리해야한다.
Semantic Net: 의미망
node, link, link label로 이루어져 있음.
link는 방향성도 가질 수 있음
Frame Theory
민스키에 의해 만들어짐
노드를 좀 더 포말, 세부적으로 표현해보자!
상위 클래스에 상속되는 하위 프로그램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설립자...?
관계를 확립시킴으로써 문맥적 선택과 주제를 보충해 주는 현실적 인식 틀
인공지능의 대표적인 표현 방법
태리
일단 배우는거만 정리해보자 차근차근,,
팔로우
이전 포스트
AI_Week_3
0개의 댓글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