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생성
- 원하는 장소에 terraform 디렉토리 생성
- 앞으로 프로젝트 단위의 테라폼 관련 작업들은 해당 디렉토리에서 작업될 예정
- 해당 디렉토리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디렉토리 생성
- terraform 에 생성한 오거니 제이션의 이름인 workspace1 로 생성해줬다.
- intellij 에서 workspace1 을 오픈
- git ignore 추가
- main.tf 파일 생성
- 이 파일을 생성하면 플러그인을 인스톨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 플러그인을 인스톨하면 테라폼 아이콘이 생긴다.

- git repository 에 업로드
- 이렇게 생성한 프로젝트를 repository 에 push 한다.
📍 AWS 기본 세팅
terraform {
// terraform 동기화 작업
// 생성한 organization 과 workspace 의 이름과 동일 해야함
cloud {
// terraform organization 등록
organization = "og-1"
// terraform workspace 등록
workspaces {
name = "workspace-1"
}
}
// java 의 import 와 비슷한 개념
// aws 의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 작업
required_providers {
aws ={
source = "hashicorp/aws"
version = "~> 4.0"
}
}
}
// config the ASW Provider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terraform init
terraform fmt
terraform plan
- 적용하기
- plan 을 포함한 명령어
- plan 을 먼저 수행하고 yes 를 누르면 적용이 된다.
terraform apply
- yes 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나오면 성공이다.

- 삭제하기
- apply 로 생성한 프로젝트를 aws 에서 삭제할 수 있다.
terraform destroy
- 작업 내역은 terraform → worksapce → status 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