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역폭 (Bandwidth)
: 대역폭은 네트워크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측정 단위.
더 높은 대역폭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전송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더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
주파수 넓이와 전송률(Datarate, Throughput)은 비례관계
: 1MB/s = 8Mbps(8Mb/s)
2) 지연시간
: 데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
중요 분야 : 통화(전화), 영화, 실시간 스포츠, 교통, IOT
1. 처리 지연 (Processing Delay):
: 패킷의 정보를 처리하는데 드는 시간
처리 지연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장치나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압축하는 작업 등이 처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다.
2. 대기 지연 (Queueing Delay):
: 줄서는데 드는 시간 (병목형상 파악하면 해결 가능)
대기 지연은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대기열에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네트워크 장치나 시스템에서 처리해야 할 다른 데이터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대기 지연은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다.
3. 전송 지연 (Transmission Delay):
: 미디어에 패킷이 앞에서 끝까지 통과하는 시간
전송 지연은 데이터가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이다. 이는 데이터의 크기와 전송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동안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4.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전파 지연은 데이터가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전파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전파가 공간을 이동하는 속도와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전파 지연은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전달되는 시간으로, 전송 거리가 멀거나 물리적인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증가할 수 있다.
: 자원을 확보하여 최악의 상황을 대비
일관성, Coverage, 보안
packet loss
- 잡음 (Noise):
잡음은 데이터 신호에 추가되는 무작위한 외부 신호로, 전송 중에 데이터에 노이즈가 혼입되어 패킷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혼잡 (Congestion):
혼잡은 네트워크의 용량이나 리소스가 데이터 전송 요구를 처리하기에 부족한 상태를 의미.
혼잡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가 많아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
: 성능을 향상시키기 가장 좋은 기법 중 하나
: 멀리있는 것을 가까이 두고 사용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