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에서 Maven프로젝트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추가

coldbrew·2023년 8월 8일
0

기존에 이클립스, STS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이번에 IntelliJ로 IDE를 바꾸기로 결정했습니다!!!
처음 사용하는거라 환경설정부터 프로젝트 생성까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연습을 했습니다.(생각보다 쉽지 않았다ㅜㅜ)

Add Frameworks Support가 사라지면서 스프링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기능을 찾지 못했습니다.
결국 수동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만드는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에 있었던 에러사항과 과정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새 프로젝트 생성

  1. Maven 프로젝트 이름 설정
  2. 프로젝트 저장 위치 설정
  3. 사용하는 JDK 버전 설정(JDK 11 사용)
  4. Archetype maven-archetype-webapp 추가
  5. BUILD SUCCESS가 로그에 표시되면 성공

생성된 프로젝트 설정

  1. pom.xml 의존성 주입
  2. root-context servlet-context 생성
  3. WEB-INF 밑에 views폴더 만들고 테스트용 index.jsp 생성
  4. HomeController.java 클래스 생성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index"; // => index.jsp 출력
    }
}

Tomcat 설정

  1. 플러그인에서 Smart Tomcat 설치
  2. 실행/디버그 구성에서 Smart Tomcat 추가
  3. 이름, 본인이 설치한 Tomcat의 경로 추가
  4. 포트번호 설정(편의상 8088로 했습니다)
  5. VM options에 인코딩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Dfile.encoding=UTF-8 추가

테스트 실행

  1. 성공적으로 설정하면 우측 상단에 Tomcat 실행 버튼이 생깁니다.

  2. 초록색 삼각형을 누르면 Tomcat이 실행

  3. 콘솔에 나온 주소를 클릭하면 설정된 브라우저로 입력한 값이 출력

마무리

Add Frameworks Support 기능이 왜 없어졌는지 모르겠지만(Springboot를 사용하라는 건지...) 그래도 고민하고 직접 해보니까 나중에 이런 일이 생겨도 해결할 수 있겠다!!!
당분간은 스프링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서 사용하겠지만 언젠간 꼭 스프링부트를 활용하는 개발자를 목표로...
다음에는 IntelliJ에 깃허브를 소스트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기능을 연습해 보겠습니다.

깃허브 : https://github.com/Quokka2/DartProject
(예제가 필요하신분 여기서 xml과 예제 파일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8월 8일

개발자로서 배울 점이 많은 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