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오답 정리

sookyoung.k·2024년 12월 10일
0
post-thumbnail

2022년 6월 11일 기출문제

와~ 58점이다~ 아 진짜 ㅠㅠ 외우기 싫은거는 죽어도 하기 싫다. 하지만 해야겠지...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 BSD 계열

    • lpr: 프린터 출력
    • lpq: q에 있는 작업의 목록 출력
  • System V 계열

    • cancle: 취소, 무조건 작업 번호를 붙여줘야 한다
    • lpstat: 작업번호 확인
  • System V 계열 명령어: lp, lpstat, cancle
    BSD 계열 명령어: lpr, lpq, lprm, lpc, lpd

  • yum 기본 형식: yum [옵션] [명령어] [패키지 명]
    👉 설치: yum install sendmail

  • rpm 명령어

    • rpm -ivh 패키지명: 설치
    • rpm -qa | grep 패키지명: 확인
    • rpm -ev 패키지명: 제거
    • 👉 -q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a 모든 패키지 확인, -i 패키지 설치
  • 소스파일로 프로그램 설치 시

    • make: PHP, SAMBA, Apache HTTP
    • cmake: MySQL
  • 압축 해제 옵션

    • -z: gzip 압축 또는 해제
    • -j: bzip2 압축 또는 해제
    • -J: xz 압축 또는 해제
  • rpm -U 패키지명: 기존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일반적인 설치, 기존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다면 업그레이드

  • 온라인 기반: apt-get(데비안), yum(레드햇), zypper(수세)
    기본: dpkg(데비안), rpm(레드햇), YaST(수세)

  • 데비안 계열 리눅스 패키지 관리 도구 👉 deselect, alien, dpkg
    페도라 및 레드햇 계열 패키지 관리 도구 👉 dnf

  • vi 편집기 파일 안에서 문자 치환 👉 :% s/[변경대상]/[변경문자]/g

  • init(런레벨): 재부팅과 종료레벨 7단계 구분
    inetd(internet service daemon): 다른 데몬들을 제어,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데몬
    standalone: 백그라운드 요청 기다렸다가 요청이 오면 혼자 처리
    daemon: 프로세스 메모리에 상주해있다가 사용자 요청이 오면 응답하는 프로세스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종료 👉 kill %2

  • 백그라운드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값을 확인하는 명령어 = ps -l (NI, PRI 확인)

  • ksh: 콘셸, 1980년대 초 벨 연구소의 데이비드 콘이 개발한 유닉스 셸
    bash: 배시는 본 셸을 대체하는 자유 소프트웨어로서 GNU 프로젝트를 위해 브라이언 폭스가 작성한 유닉스 셸
    dash: 데비안 암키스트 셸, bash보다 훨씬 더 가벼운 POSIX 호환성이 있는 유닉스 셸
    csh: C셸, 빌 조이가 개발

  • 사용자의 셸 종류를 알아보는 명령 = gerp [사용자 이름] /etc/passwd (현재 사용 중인 셸)
    셸 바꾸기 = chsh -s
    셸 목록 = chsh -l or cat /etc/shells

  • 파일이나 디렉터리 허가권 값 변경 = chmod
    지정 = umask
    그룹 소유권 변경 = chgrp
    그룹 및 개인 소유권 변경 = chown

  • 마운트 해제 명령어 umount!!! 언마운트(unmount)와 다르다!!

  • 사용자 소유권 변경 = chown | 그룹 소유권 변경 = chgrp

    • -R: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
  • 쿼터 관련 명령어

    • edquota: 사용자와 그룹에 대해 쿼터를 설정하고 변경하는 명령어
    • setquota: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자나 그룹에 쿼터를 적용하는 명령어
    • repquota: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자나 그룹에 적용된 쿼터를 요약하여 출력하는 명령어
    • quotaon|quotaoff: 쿼터 활성화|비활성화
    • quotacheck: 모든 파일 시스템 점검, 쿼터 설정 및 기록 파일 갱신하는 명령어
  • 쿼터 설정 과정
    quotacheck 👉 edquota 👉 quotaon 👉 repquota

  • /etc/fstab 기본 형식
    [장치명][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 종류] [옵션(default)] [덤프 유무][파일 시스템 검사 유무]
    - 마운트 옵션: ro - 읽기 전용, rw - 읽기/쓰기로 마운트

  • UUID 값을 확인하는 명령어 = blkid

  • 원격지의 윈도우 시스템에 공유된 폴더를 마운트하는 옵션 👉 cifs, smb

2과목: 리눅스 활용

  • 클러스터 구성 방식

    • 고계산용 클러스터: 베어울프 클러스터, 과학 계산용으로 활용
    • 부하 분산 클러스터: 대규모 서비스 제공, 여러 개의 서버가 부하 분산기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
    • 고가용성 클러스터 (HA):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제공, 부하 분산기와 백업 서버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통신하며 이상 유무 점검
  • UPD 프로토콜 👉 DNS (TCP, UDP 가능)
    TCP 프로토콜 👉 Telnet, SMTP, HTTP

  • /etc/services: 프로토콜과 관련된 포트 번호 확인
    /etc/protocols: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들

  • 패킷 교환 방식

    • 인터넷
    • 대역폭 고정되어 있지 않음 (동적이다)
    • 경로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 각 패킷마다 오버헤드 비트가 있다
    • 이론상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이 가능하다
  • LAN - Ethernet, token ring, FDDI
    MAN - DQDB
    WAN - 회선교환망 PPP, HDLC | 패킷교환망 X.25, ATM, Frame-Relay

  • X 윈도를 실행하는 명령 = startx

  • 프로그램 종류 외우기

    • GIMP: 이미지 편집기 (General Image Manipulation Program)
    • eog: GNOME의 이미지 뷰어 (Eye of Gnome)
    • evince: PDF 문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 Gwenview: KDE용 이미지 뷰어
  •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 Eog
    • ImageMagicK
    • Gimp

* Totem: 미디어 플레이어

  • 데스크톱 환경 종류

    • KDE: 유닉스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강력한 오픈소스 GUI 데스크톱 환경, Qt 기반으로 만들어짐
    • Xfe: 다양한 유닉스 운영체제들을 위한 가벼운 데스크톱 환경
    • LXDE: 컴퓨터 사양에 관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데스크톱 환경
    • GNOME: 리눅스 등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스크톱 환경 (GNU 프로젝트)
  •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시작 시 X 윈도 모드로 부팅하는 대신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도록 설정하는 명령

    • 텍스트 모드는 multi-user.target
    • x 윈도 실행 모드는 graphical.target
profile
영차영차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