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1일 기출문제 오답
51점 받았당... 50점대까지는 어찌어찌 왔는데, 몇 개 외워야할 구간이 분명히 보인다. 하지만... 싫다...
Mirroring 👉 디스크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해 추가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중복 저장하는 기술
Striping 👉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눠 저장
LVM 👉 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
RAID-6 👉 스트라이핑 방식, 하드디스크 중 2개를 전용 패리티 디스크로 사용
때문에 7개를 이용한다고 해도 실제 가용 용량은 5개! 👉 2GB * 5 = 10 GB
rpm 패키지 명령어
-i
옵션: 패키지 설치-e
옵션: 패키지 제거 압축 확장자명
tar (괄호) linux-5.13.4.tar.xz
는 Jxvf
가 들어가야 함yum history 👉 yum 기반 작업 목록 확인
yum list 👉 전체 패키지에 대한 정보 출력
tar 명령어 옵션
-c
: 파일이나 디렉터리 묶음 (create)-C
: 디렉터리 변경 configure 명령어
configure clean
: 이전에 컴파일 한 내용 삭제configure disclean
: automake에서 분류되지 않은 나머지 파일 삭제vi 편집기 환경 설정 값
set nu
= set number, 각 행 앞에 행 번호가 나타나게 함set no
= set no number, 번호가 사라지게 함,,,vi 옵션
vi -r
: 갑작스러운 사고로 파일 손상되었을 때 복구vi +[num] 파일명
: 해당 줄로 커서 이동 num이 없을 경우 마지막으로 vi $ 파일명
: 커서가 줄의 맨 끝으로 이동 vi - 파일명
: 앞 줄의 첫 문자로 이동편집기 만든 사람 외우기... 하 이걸왜
crontab 옵션
-u <user>
: 유저 정의-e
: 크론탭을 작성하거나 수정 -i
: prompt before deleting-n <host>
: set host in cluster to run users' crontabs jobs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확인 명령
bg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nohup
- 터미널 창이 닫혀도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 커널의 프로세스 우선순위 항목 👉 PRI: 커널에서 참고하여 운영체제가 실제 참고
- NI: 사용자가 변경하는 항목, NI 값이 PRI 값에 반영
셸 종류
/etc/passwd
- 시스템 사용자들의 기본적인 정보 저장
👉 유저가 로그인 셸을 변경했을 때도 저장되는!
메일 관련 파일 명령어
$MAIL
: 메일 관련 파일의 경로$MAILCHECK
: 메일 확인 시간eject
명령어 👉 디스크 트레이를 엶, 이동식 보조기억장치 등과 같은 미디어를 해제하고 장치 제거
디스크 쿼터 명령어
quota
: 현재 사용자 단위 쿼터 정보 출력edquota
: 편집기를 사용하여 그룹에 디스크 사용량 활당 requota
: 시스템 단위 쿼터 정보를 요약하여 출력xfs_quota
: CentOS7 에서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df
: 디스크의 남은 공간 보여줌
du
: 디스크 사용 공간에 대한 정보를 보여줌
lsblk
: list block devices
/etc/fstab
👉 [파일 시스템 장치][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 종류][옵션] [덤프][파일점검 옵션]
UUID: 고유한 일련 번호 부여
Set-UID: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해당 프로세스의 root 권한을 임시로 가져오는 기능
blkid: 리눅스에서 디스크를 생성하고, 디스크의 위치나 타입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리눅스 배포판 종류
FDDI: 전송 매체를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설계된 링 구조의 통신망, 엑세스 제어는 토큰 패싱 방법 채택
Token Ring: IMB에 의해 개발, 네트워크 채널을 사용하려면 일종의 사용권을 획득해야 한다
Ethernet: Mac주소 기반
X.25: WAN 상에서 널리 쓰이는 프로토콜
최상위 도메인: com, org, net, edu, gov, mil, int, kr, jp등
- * mil: 국방부와 하위 조직을 위한 인터넷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sTLD
프로토콜과 포트번호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통신 장비
리피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장치
브리지: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통신량을 조절하여 트래픽 관리
ss
, netsta
: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
사설 IP 주소
네트워크 계층 관련 프로토콜: BGP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UDP
WAN > MAN > LAN
/etc/sysconfig/network-script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etc/sysconfig/network
: 시스템의 전반적인 설정 포함
/etc/resolve.conf
: DNS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 등 설정하여 이름 해석에 사용
OSI 계층별 특징
Eog: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ImageMagicK: 비트맵 이미지를 보여주고 생성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지원
Gimp: 이미지 편집, 변환, 생성 프로그램
Totem: Movie Player
윈도매니저: X윈도우 상에서 윈도우의 배치와 표현 담당
데스크톱 환경: GUI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스타
디스플레이 매니저: X윈도우 구성요소 중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 역할 수행 프로그램, XDM, GDM, KDM 등이 존재
xauth
: MMC 방식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 유틸리티
👉 xauth list $DISPLAY
: 서버 실행 시 생성된 인증키 값을 확인하는 과정
echo $DISPLAY
값이 0 👉 첫 번째 디스플레이 / 값이 1 👉 두 번째 디스플레이
Xlib 👉 C 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X 서버와 대화하는 역할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