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태그 정리(1)

jaehan·2022년 4월 15일
0

HTML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들으며 html 태그들을 여기에 정리해보려 합니다.

💻 주요범위


💡 < html >

HTML 문서의 범위를 설정.

속성의미
lang문서의 언어ko, en...</span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head >

HTML 문서의 정보를 설정.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body >

HTML 문서의 구조를 설정.

body{ display : "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메타데이터


💡 < title >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이나 페이지 탭에 보여지는 문서의 제목을 설정.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base / >

HTML 문서에 포함된 모든 상대 URL들의 기준 URL를 설정

- 한 문서에 한개만 존재해야함, 작성하다 헷갈릴수 있으니 주의!!

속성의미기본값
href기준 urlurl
targeta 태그 처럼 target 속성을 사용하는 요소의 기본값_self, _blank_self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외부 리소스의 연결 및 현재 문서와의 관계를 명시.

- HTML, CSS, ICON 등 가져오기.

속성의미
rel(필수)현재 문서와 외부 리소스와의 관계stylesheet, icon...
href외부 리소스의 urlURL
type외부 리소스의 MIME 타입text/css, image/x-icon…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meta / >

기타 메타데이터 요소(< link />, < style >같은)로 나타낼 수 없는 메타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설정.

- 보통 로고, 제목, 검색 등을 포함함.

속성의미
charset문자 인코딩 방식UTF-8, EUC-KR...
name메타데이터의 이름author, description…
http-equiv서버/사용자 에이전트의 작동방식 변경에 대한 지시(HTTP 응답 헤더 제공)refresh, X-UA-Compatible…
contentname, http-equiv의 값

👇 기본 설정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user-scalable=no, maximum-scale=1, minimum-scale=1"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style >

스타일 정보(CSS)를 설정.

속성의미
typeMIME타입text/css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콘텐츠 구분


💡 < h1 >, < h2 >, < h3 >, < h4 >, < h5 >, < h6 >

문서의 정보 계층을 구조화.

- 숫자가 낮을수록 높은 단계(중요한)의 제목.
- 글자 크기때문에 사용하는 것은 금지! (글자 크기는 css로 조절)

h1

h2

h3

h4

h5
h6
h1, h2, h3, h4, h5, h6 { display: 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header >

문서의 헤더를 설정.

- 보통 로고, 제목, 검색 등을 포함함.

header{ display:block; }

👇 header의 예
header이미지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문서의 푸터를 설정.

- 보통 작성자, 저작권, 관련 문서 등을 포함.

footer{ display:block; }

👇 footer의 예
header이미지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main >

문서의 주요 콘텐츠를 설정.

- 하나의 문서에는 단 하나의 < main > 요소만이 존재해야 함.

main{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article >

독립적으로 구분되거나 재사용 가능한 영역을 설정.

- 매거진/신문 기사, 블로그 등.
- 일반적으로 < h1 >~< h6 >를 포함하여 식별.
- 작성일자와 시간을 < time >의 datetime 속성으로 작성.

article{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section >

문서의 일반적인 영역 설정.

- 일반적으로 < h1 >~< h6 >를 포함하여 식별.

section{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aside >

문서의 별도 콘텐츠를 설정.

- 보통 광고나 기타 링크 등의 사이드바(Side bar)를 설정.

aside{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nav >

다른 페이지 링크를 제공하는 영역을 설정.

- Navigation, 보통 메뉴(Home, About, Contact), 목차, 색인 등을 설정.

nav{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address >

< body >, < article >, < footer > 등에서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하여 사용.

address{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div >

본질적으로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는 콘텐츠 영역을 설정.

- Division, 꾸미는 목적으로 사용.

  • 아무 의미 없는 태그이기 때문에 태그들을 묶어줄때 많이 사용함
div{ display: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문자 콘텐츠


💡 < ol >, < ul > < li >

각 항목(< li >)의 정렬된 목록(< ol >)이나 정렬되지 않은 목록(< ul >)을 설정.

ol = Ordered List
ul = Unordered List
li = List Item

  • < ol >과 < ul >은 자식으로 < li >만 포함 가능.(< li >는 단독사용 불가! )
  • 정렬된 목록(< ol >)의 항목 순서는 중요도를 의미할 수 있음.
ul, ol { display : block; }
li { display : list-item; }

< ol >

속성의미
start항목에 매겨지는 번호의 시작 값숫자
type항목에 매겨지는 번호의 유형a, A, i, I, 1

< li >

속성의미특징
value항목의 순서를 설정숫자이하 항목들의 순서가 다시 지정됨

< ol, ul, li 태그 사용 예시 >

<ol>
  <li>html</li>
  <li>css</li>
  <li>java script</li>
</ol>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ol), TCP school(ul), TCP school(li)

💡 < dl >, < dt >, < dd >

용어(< dt >)와 정의(< dd >) 쌍들의 영역(< dl >)을 설정.

dl = Description List
dd = Definition Details
dt = Definition Term

  • < dl >은 < dd >, < dt >만을 포함해야 함.
  • 키(key)/값(value) 형태를 표시할 때 유용.
dl, dt, dd { display: block; }

< dl, dt, dd 태그 사용 예시 >

<dl>
  <dt>HTML</dt>
  <dd>웹 페이지를 위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dd>
  <dt>CSS</dt>
  <dd>사용자에게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언어다.</dd>
</dl>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dl), TCP school(dt), TCP school(dd)

💡 < p >

하나의 문단을 설정

  • 일반적으로 정보통신보조기기 등은 다음 문단(< p >)으로 넘어갈 수 있는 단축키를 제공함.
p { display : "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hr />

문단의 분리(주제에 의한)를 위해 설정

  • 대부분의 경우 수평선(border)으로 표시(표현적 관점)되나 의미적 관점으로만 사용해야 함.
hr { display : 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이게 < hr >태그의 기본 모양

💡 < pre >

서식이 미리 지정된 텍스트를 설정.

  • 텍스트의 공백과 줄바꿈을 유지하여 표시할 수 있음.
  • 기본적으로 Monospace 글꼴 계열로 표시됨.
pre { display: block; }

< p, pre 태그 비교 >

<p>           p태그는 공백과 줄바꿈 
  안됨
</p>

<pre>pre태그는 
	공백과 줄바꿈      허용
</pre>

👇 실행 결과

p태그는 공백과 줄바꿈 안됨

pre태그는 
	공백과 줄바꿈      허용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 < blockquote >

일반적인 인용문을 설정.

속성의미
cite인용한 정보의 urlURL
blockquote { display: block; }
더 자세한 내용은 👉 TCP school

참고자료


mozilla
tcp school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