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API란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의미합니다.
OSI 7계층에서 전송계층(Transport layer)에 속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다. 여기선 중요한 것만 살펴보고 깊게는 들어가지 않는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가 반드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는 프로토콜로 다음 특징들을 갖는다.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 으로 2개의 호스트가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동작하며 well-known 포트인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첫번째 표준은 HTTP/1.1이며 이후로 HTTP/2 및 HTTP/3가 등장하였다. 여기선 HTTP/1.1의 내용을 정리한다. 특징 비
이제까지 전통적인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와의 통신 프로토콜은 HTTP/1.1 기준으로 동작했는데, 많은 문제점들과 개선할 부분들이 있었기 때문에 2015년에 HTTP/2가 등장하게 되었다. HTTP/1.1의 문제점 HOLB(Head Of Line Blocking) HTTP 요청을 할 때는 요청을 하고 나서 응답이 와야 다음 요청을 할 수 있었는데 H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라는 의미로 인터넷 상의 리소스 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URI에는 위치를 알려주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와 전 세계를 통틀어 고유한 이름을 의미하는 URN(Uniform Resource Name) 이 존재한다. https://gi...
HTTP는 상태가 없는(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게 될 경우 어떤 사용자가 접속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URL을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한다. 웹 브라우저가 URL을 해석하고, 문법에 맞지 않으면 기본 검색엔진으로 검색한다. 문법에 맞으면 URL의 호스트 부분을 인코딩한다.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목록을 확인하고 있으면 HTTPS로, 없으면 HTTP로 요청한다. DNS(Domain Name Server) 조회 ...
CDN은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또는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DN))의 약자로 말 그대로, 컨텐츠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