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AG 2.1 정리

롱롱·2022년 9월 5일
0

👀 WCAG?

  • WCAG는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의 줄임말로 웹 콘텐츠를 접근성 있게 만들기 위한 권장 표준
  • 이 표준을 준수함을 통해 시각, 청각, 운동장애 등 광범위한 장애에 대한 접근성 있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음
  • 웹 접근성의 기초를 제공하는 4가지 원칙인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견고성(Robust)에 기반을 두고 있음
  • 원칙을 기반으로 접근성을 위해 어떠한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과 또 그 지침에 대한 검증가능한 성공기준을 제시하고 있음
  • 성공기준은 최저수준인 level A 부터 최고수준인 level AAA까지 3단계로 나누어짐

WCAG 2.0 VS WCAG 2.1

WCAG 2.0 이 만들어졌을때는 주로 데스크탑 환경만을 고려했지만 그 후 모바일 산업의 폭발적인 확장으로 모바일 환경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하는 상황이 찾아왔다.

WCAG 2.1은 WCAG 2.0의 요구사항들을 상속하면서 추가적으로 인지나 학습장애가 있는 사용자, 저시력자,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데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접근성 지침을 개선하는 데 목표를 두고있다.

즉 WCAG 2.1은 새로운 성공기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의, 추가사항을 조직하기 위한 지침, 그리고 준수 절(section)에 대한 몇 가지 사항을 추가하여 WCAG 2.0을 확장한 것이다.


1.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 4가지 지침과 그에 대한 29가지 성공기준을 가지고 있다.

지침 1.1 대체텍스트

  •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의 경우 목적에 상응하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ex - img alt속성)

  • 단 시력검사, 받아쓰기와 같은 Test나 특정 감각을 위한 악기연주 등 텍스트만으로 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애매한 경우 콘텐츠의 용도만을 기술하는 것도 괜찮다.

  • 텍스트 아닌 콘텐츠가 순수한 장식이거나, 보이지 않는경우 대체텍스트를 제공하지 않는 편이 합리적이다

지침 1.2 시간기반 미디어

  • 시간기반 미디어에 대한 대체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 달성하기 비교적 쉬운 level A 부터 어려운 level AAA 까지 총 9개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 level이 올라갈수록 더 자세하고 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지침 1.3 적응가능

  • 콘텐츠가 정보나 구조의 손실 없이 다른 방법들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 콘텐츠의 정보, 구조, 관계는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또 콘텐츠가 표시되는 순서가 의미에 영향을 주는 경우 올바른 읽기 순서 역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결정된다는 것은 확대기,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와 같은 보조공학을 포함한 user agent(웹 브라우저)가 개발자 제공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추출해 사용자에게 다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뜻한다 - 대체텍스트의 img alt 속성 처럼

  • 콘텐츠를 이해하고 작동하기 위해 제공된 지시문은 모양, 색상, 크기, 시각적 위치 등 구성요소의 감각적 특성에 전적으로 의존해서는 안 된다.

지침 1.4 식별 가능

  • 색상은 시각적 요소 구별을 위한 유일한 시각적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 웹 페이지에 있는 오디오를 컨트롤 할수 있어야 하고, 배경음이 낮거나 없어야한다 - 스크린리더 사용자를 위한 항목으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청각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다른 오디오나 배경음이 지속된다면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겪을 수 있음.

  • 텍스트 이미지 보다는 텍스트를 사용해야 하고, 텍스트의 명도대비, 크기 조정등을 통해 가시성을 높여야한다.


추가중...


참고

profile
개발자를 꿈꾸며 공부중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