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2.11.07

rara_kim·2022년 11월 7일
0

TIL

목록 보기
1/25

TIL/WIL이란 무엇인가? 특강을 듣고...

본격적으로 프리온보딩(주특기 언어스터디 기간)을 시작하기 전 TIL/WIL에 대해 특강이 있었다.
사실 자바와 스프링 관련 인터넷강의를 조금 수강했었기에 TIL에 대한 개념이나, 개발 블로그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인식이 있었다.

그런데, 오늘 특강에서 멘토님 말씀을 듣고 누가 뒷통수를 때린줄 알았다.

TIL 작성시 한번쯤 생각해 볼 것!
1. 작성했던 블로그 글, TIL을 다시 본 적이 있는가?
2. 블로그에서 본 지식의 나열, 특정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나열만을 하고 있지는 않는가?

이 블로그를 보면 알겠지만 나름 Java와 Spring에 대해서 정리한 글들이 있다.
그런데 돌이켜 생각해보니 공부한 내용에 대해 블로그에 정리하는 것 자체를 만족해하고 끝내고, 가끔가다 모르는 부분만 찾아보려 블로그를 재방문하는 게 다였다.
그리고 실제 공부한 내용 조금에 타 블로그에서 본 글의 따라쓰기를 한 내용이 많았다.
무엇을 위해 처음 개발 블로그를 만들었던 걸까? 제대로 학습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오늘 특강은 나에게 정말 많은 깨달음을 주었다.
학습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었고, 개발 블로그를 운영하는 그 목적에 대해 머릿속에 새길 수 있는 시간이었다.
같은 과오를 저지르지말고, 앞으로 열심히 작성해보자!


오늘은 무엇을 공부했을까?

프리온보딩 첫째날, 혼자 공부하는 자바서적을 이용해 스터디를 시작했다.
오늘의 범위는 Chapter2.변수와 타입이었는데, 한동안 자바 공부에 손을 떼고 있던 탓일까 다시금 공부하니 헷갈리던 부분도 있었고, 미처 알지 못했던 부분도 있었다.

  • 유니코드
  • 알파벳 e 또는 E
  • 문자열 결합연산

특히 유니코드는 전에 문제풀이에서 갑자기 나와 당황했었던 기억이 있는데, 본 서적에서는 아주 쉽게 설명이 되어있고 간단한 예제가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
또, 문자열 결합연산은 알고 있던 내용이었지만 새로 알게 된 내용도 있다.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1 = 1 + 2 + "3"    // "33"
        String str2 = 1 + "2" + 3    // "33"
        String str3 = "1" + 2 + 3    // "33"
    }
}

지금까지는 3개 이상의 리터럴을 사용해본 적 없이, 2개만으로 사용을 했었기에 "3"이 마지막에 오는 경우 앞의 두 숫자는 연산이 되어 3이 되는 것은 오늘 처음 알았다.

변수에 대해서는 처음 자바 공부를 했을 때 여기에 개념정리를 했었는데, 오늘 공부한 부분에서 필요한 부분을 추가하여 다시한번 정리해야겠다.

오늘 공부한 예제코드들은 깃허브에 커밋해 정리해두었다!
GitHub: Chapter2.변수와 타입

내일은

내일 공부할 범위는 Chapter3.연산자이다.
이또한 공부한 적있는 내용이지만, 분명 모르는 내용도 있을 것이다.
오늘처럼 예제를 통해 직접 코드를 작성해가며 공부하고, 연산자 기본 개념을 다시금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TMI. 속독하는 방법도 한번 찾아봐야지. 책을 보며 공부하는 건 생각외로 시간이 걸리는 일이었구나...

profile
느리더라도 꾸준하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