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만져보기 part.3(network)

ralook·2022년 8월 1일
0

안녕하세요 알아보자 라룩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docker의 network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도커 네트워크 드라이버 종류

브릿지, 호스트, none, 컨테이너, overlay
브릿지 네트워크 : 컨테이너 생성 시 자동으로 연결되는 docker0의 브릿지를 활용 (172.17.0.X) 대역을 사용
호스트 : 사용하는 운영체제 네트워크를 사용
none : 네트워크 미사용
컨테이너 : 하단에 설명

컨테이너 내부와 docker0 구조

docker0는 호스트의 eth0과 연결함으로 써 컨테이너가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컨테이너 내부 네트워크 확인

브릿지 네트워크 사용

  • 네트워크 생성
    네트워크 생성
  • 네트워크 조회
    네트워크 조회
  • 컨테이너 내부의 네트워크 조회
  • 서브넷, 게이트웨이, ip-range 설정

네트워크 미사용

볼륨 공유식으로 사용할 때 유용한 것 같다.(제가 생각하기론)

container network

사용중인 컨테이너의 네트워크를 재할당 필요없이 기존의 컨테이너 설정을 불러와 세팅 끝낸다.

  • 현재 80 포트가 nginx에 있으므로 충돌이 난다.
docker run -itd --name {{Container.Name}} --net Container:{{}}.{{.}} image_name

이상으로 docker의 network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은 아닐수도 아니지도 모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먼지보다 가벼운 지식이 모자란 걸 채우기위한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