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학교에 페인트가 칠해진 길이가
n
미터인 벽이 있습니다. 벽에 동아리 · 학회 홍보나 회사 채용 공고 포스터 등을 게시하기 위해 테이프로 붙였다가 철거할 때 떼는 일이 많고 그 과정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곤 합니다. 페인트가 벗겨진 벽이 보기 흉해져 학교는 벽에 페인트를 덧칠하기로 했습니다.
넓은 벽 전체에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대신, 구역을 나누어 일부만 페인트를 새로 칠 함으로써 예산을 아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벽을 1미터 길이의 구역n
개로 나누고, 각 구역에 왼쪽부터 순서대로 1번부터n
번까지 번호를 붙였습니다. 그리고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할 구역들을 정했습니다.
벽에 페인트를 칠하는 롤러의 길이는m
미터이고, 롤러로 벽에 페인트를 한 번 칠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롤러가 벽에서 벗어나면 안 됩니다. - 구역의 일부분만 포함되도록 칠하면 안 됩니다.
즉, 롤러의 좌우측 끝을 구역의 경계선 혹은 벽의 좌우측 끝부분에 맞춘 후 롤러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벽을 칠합니다. 현재 페인트를 칠하는 구역들을 완전히 칠한 후 벽에서 롤러를 떼며, 이를 벽을 한 번 칠했다고 정의합니다.
한 구역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도 되고 다시 칠해야 할 구역이 아닌 곳에 페인트를 칠해도 되지만 다시 칠하기로 정한 구역은 적어도 한 번 페인트칠을 해야 합니다. 예산을 아끼기 위해 다시 칠할 구역을 정했듯 마찬가지로 롤러로 페인트칠을 하는 횟수를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정수n
,m
과 다시 페인트를 칠하기로 정한 구역들의 번호가 담긴 정수 배열section
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러로 페인트칠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 1 ≤
m
≤n
≤ 100,000- 1 ≤
section
의 길이 ≤ n
- 1 ≤
section
의 원소 ≤ nsection
의 원소는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하는 구역의 번호입니다.section
에서 같은 원소가 두 번 이상 나타나지 않습니다.section
의 원소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은 2, 3, 6번 영역에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합니다. 롤러의 길이가 4미터이므로 한 번의 페인트칠에 연속된 4개의 구역을 칠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3, 4, 5, 6번 영역에 페인트칠을 하면 칠해야 할 곳으로 2번 구역만 남고 1, 2, 3, 4번 구역에 페인트칠을 하면 2번 만에 다시 칠해야 할 곳에 모두 페인트칠을 할 수 있습니다.
2번보다 적은 횟수로 2, 3, 6번 영역에 페인트를 덧칠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최소 횟수인 2를 return 합니다.
-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은 1, 3번 영역에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합니다. 롤러의 길이가 4미터이므로 한 번의 페인트칠에 연속된 4개의 구역을 칠할 수 있고 1, 2, 3, 4번 영역에 페인트칠을 하면 한 번에 1, 3번 영역을 모두 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횟수인 1을 return 합니다.
- 입출력 예 #3 : 예제 3번은 모든 구역에 페인트칠을 해야 합니다. 롤러의 길이가 1미터이므로 한 번에 한 구역밖에 칠할 수 없습니다. 구역이 4개이므로 각 구역을 한 번씩만 칠하는 4번이 최소 횟수가 됩니다.
따라서 4를 return 합니다.
✅ 문제가 엄청 거창한데 결국 핵심은 최소의 횟수로 페인트를 칠해야 하는 구역에 페인트를 칠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칠해진 영역
end
를 변수로 두어, 칠해야 하는 영역의 인덱스idx
가end
보다 큰 경우, 아직 해당 구역의 인덱스를 칠하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페인트를 칠하고 횟수cnt
를 증가시켜주고, 해당 구역부터 페인트를 칠한 마지막 영역을 다시end
에 담아준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m, int[] section) {
int cnt = 0;
int end = 0;
for(int idx : section) {
if(idx > end) {
cnt++;
end = idx + m - 1;
}
}
return cnt;
}
}